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65
어제:
257
전체:
762,467

焦眉

2012.12.05 20:08

이규 조회 수:1546

焦眉

 

焦 태울 초
眉 눈썹 미

 

焦眉-눈썹이 타들어가는 다급한 상황


焦는 새둥지 밑에 불이 타고 있는 形狀으로 ‘태우다’, ‘다급하다’는 뜻을 갖고 있다.  焦點, 焦燥, 焦土化가 있다.  眉는 눈위에 털이 나있는 形狀으로 ‘눈썹’이라는 뜻이다.  아미(蛾眉-누에 눈썹같은 미인의 눈썹), 兩眉間이 있다.  따라서 焦眉라면 ‘눈썹이 타는 듯한 危急한 狀況’을 뜻한다. ‘焦眉의 關心事’라는 말이 있다.
  東漢 末期 曹操가 獻帝를 끼고 天下를 號令할 때 그의 越權 行爲에 不滿을 품고 일어난 자가 劉備와 孫權이다.  新野에서 劉備를 보기 좋게 擊破한 曹操가 그 길로 孫權을 향해 壓迫해 오자 겁이 난 孫權은 魯肅을 劉備의 陣營에 보내 聯合을 模索하게 되었다.
  그러나 孫權 麾下(휘하)의 많은 將帥들은 曹操에게 投降할 것을 主張했다.  聯合해 보았자 그를 당한다는 것은 力不足이었기 때문이었다.  後에 魯肅이 諸葛亮을 데리고 돌아오자 投降派의 代表라 할 수 있는 張昭가 諸葛亮에게 따지듯이 말했다.
  “나는 옛날부터 當身을 잘 파악하고 있었소. 지금 當身은 誇大妄想症에 빠져 마치 管 仲(齊나라 桓公 때의 명재상)이나 되는 것처럼 行動하고 있는데 當身이 이루어 놓은게 뭐있소?  劉備가 當身을 얻고 부터 連戰連敗한 나머지 지금은 눈썹이 타들어 가는{焦眉} 危急한 形局에 빠져 있다는 事實을 아시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17
403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420
402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23
401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25
400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425
399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427
398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427
397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428
396 割據 셀라비 2012.11.09 1430
395 兩立 이규 2012.12.13 1436
394 妥結 이규 2012.12.02 1437
393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440
392 封套 이규 2012.11.19 1441
391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443
390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444
389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44
388 景福 셀라비 2012.10.31 1449
387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450
386 跛行 이규 2013.03.18 1453
385 民心 이규 2012.12.09 1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