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75
어제:
1,186
전체:
764,564

한자 鴛 鴦

2013.12.01 18:18

이규 조회 수:1868

鴛 鴦

원앙새

원앙새

 

 

다정한 새 부부의 상징새

 

 

鴛鴦衾(원앙금) 버혀 놓고 오색선 펼쳐내어 / 금자에 겨누어서 임의 옷 지어내니 / 手品은 카니와 制度도 가잘시고 松江 鄭澈思美人曲一部이다.

은 수컷, 은 암컷이다. 鴛鴦은 다정하기로 이름나 일단 짝을 맺으면 떨어질줄 모른다. 함께 날고 헤엄치며 심지어는 서로 목을 꼬면서 잠을 잔다고 한다. 또 짝이 죽으면 守節하는데, 어떤 것은 상심한 나머지 먹지 않고 굶어 죽는 것도 있다고 한다. 그래서 鴛鴦을 필조(匹鳥짝새)라고도 하며, 또한 琴瑟(금실) 좋은 夫婦象徵이기도 하여 베개나 이불에 鴛鴦形象을 수 놓기도 한다.

中國 宋나라 때 한붕(韓朋)이라는 사람의 아내는 絶世佳人이었다. 陰蕩한 강왕(康王)이 그녀를 빼앗아 愛妾으로 삼자, 韓朋自決하고 말았다. 그러자 아내도 뒤따라 自決했다. 男便合葬해 줄 것을 遺言으로 남겼지만 못된 康王은 일부러 두사람의 무덤을 따로 써 주었다. 그후 무덤에 가래나무가 한그루씩 자라났는데 가지와 뿌리가 서로 엉켜 있었다. 더욱 이상한 것은 매일 아침 저녁 鴛鴦 한 쌍이 날아와 목을 꼬고 슬피 우는 것이었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그것을 韓朋 夫婦靈魂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본디 鴛鴦은 다정한 현인(賢人)’이나 友愛 깊은 형제(兄弟)’를 뜻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4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684
203 小 心 셀라비 2014.02.13 1683
202 出 嫁 이규 2013.12.03 1681
201 遼東豕 셀라비 2014.01.23 1678
200 讀 書 이규 2013.06.30 1678
199 脾 肉 셀라비 2014.02.10 1677
198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677
197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672
196 自暴自棄 이규 2013.01.01 1672
195 諱之秘之 이규 2013.06.25 1670
194 鼓腹擊壤 셀라비 2014.05.26 1668
193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668
192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667
191 投 抒 셀라비 2014.07.03 1665
190 杜 撰 셀라비 2014.07.10 1664
189 華 燭 셀라비 2014.06.08 1664
188 鳳 凰 이규 2013.06.22 1660
187 狼 藉 셀라비 2014.01.21 1659
186 喜 悲 셀라비 2014.06.12 1657
185 鵬程萬里 이규 2013.10.03 1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