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82
어제:
1,186
전체:
764,671

如意

2012.12.04 20:45

이규 조회 수:3197

如  같을 여
意  뜻 의


如意=마음 먹은 대로 됨

 

如는 ‘여자(女)란 男便의 말(口)에 잘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본디 ‘順從’을 뜻했다.  男便으로서는 자기 뜻과 같이 되었으므로 ‘같다’라는 뜻도 지니게 되었다. 

如實, 如此, 如何間이 있다.
  意는 音과 心의 結合이다.  사람의 心理 狀態는 마음{心}에서 비롯되어 말{音}로 나타나는 法이다.  그래서 意는 ‘뜻, 기분’이 된다. 

意見, 意思, 意志, 故意, 任意가 있다. 

따라서 如意라면 ‘뜻대로 되다’가 된다. 

우리 民譚에 登場하는 ‘도깨비 방망이’라고나 할까.

그러나 본디 如意는 그처럼 靈驗을 지닌 物件이 아니라 平凡하기 그지 없는 지금의 ‘孝子손’을 뜻했을 뿐이다.
  唐 玄宗이라면 楊貴妃와의 로멘스로 有名하다. 

한번은 國政을 돌보던 중 갑자기 등이 가려워 體面 不具하고 긁었다.  하지만 아무리 긁어도 손이 닿지 않아 시원치가 않았다. 

 이 때 臣下 나공원(羅公遠)이 얼른 대나무를 잘라 갖다 바쳤다. 

과연 구석구석까지 시원하게 긁어지는 것이 아닌가.  玄宗이 말했다.
  “ 허 그놈 참, 시원도 하다. 마음먹은 대로 다 되니(如人之意)… ”
  이 때부터 ‘孝子손’을 如意라고 불렀는데 後에는 吉祥의 象徵이 되어 如意珠나 如意棒이라는 말이 나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 分 野 이규 2013.05.20 1350
43 燕雀鴻鵠 이규 2012.12.01 1346
42 赦免 [1] 이규 2013.01.27 1340
41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336
40 反哺之孝 이규 2012.11.02 1321
39 飜覆 이규 2013.01.29 1318
38 犧牲 이규 2012.12.18 1305
37 明鏡止水 이규 2012.11.27 1304
36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94
35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92
34 露 骨 이규 2013.05.29 1270
33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267
32 千慮一得 이규 2012.11.28 1237
31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228
30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222
29 汚染 이규 2013.01.24 1209
28 覇權 이규 2012.12.08 1190
27 蝸角之爭 이규 2012.11.23 1173
26 葡萄 이규 2013.01.09 1166
25 變姓名 이규 2013.01.22 1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