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7
어제:
433
전체:
765,408

如意

2012.12.04 20:45

이규 조회 수:3219

如  같을 여
意  뜻 의


如意=마음 먹은 대로 됨

 

如는 ‘여자(女)란 男便의 말(口)에 잘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본디 ‘順從’을 뜻했다.  男便으로서는 자기 뜻과 같이 되었으므로 ‘같다’라는 뜻도 지니게 되었다. 

如實, 如此, 如何間이 있다.
  意는 音과 心의 結合이다.  사람의 心理 狀態는 마음{心}에서 비롯되어 말{音}로 나타나는 法이다.  그래서 意는 ‘뜻, 기분’이 된다. 

意見, 意思, 意志, 故意, 任意가 있다. 

따라서 如意라면 ‘뜻대로 되다’가 된다. 

우리 民譚에 登場하는 ‘도깨비 방망이’라고나 할까.

그러나 본디 如意는 그처럼 靈驗을 지닌 物件이 아니라 平凡하기 그지 없는 지금의 ‘孝子손’을 뜻했을 뿐이다.
  唐 玄宗이라면 楊貴妃와의 로멘스로 有名하다. 

한번은 國政을 돌보던 중 갑자기 등이 가려워 體面 不具하고 긁었다.  하지만 아무리 긁어도 손이 닿지 않아 시원치가 않았다. 

 이 때 臣下 나공원(羅公遠)이 얼른 대나무를 잘라 갖다 바쳤다. 

과연 구석구석까지 시원하게 긁어지는 것이 아닌가.  玄宗이 말했다.
  “ 허 그놈 참, 시원도 하다. 마음먹은 대로 다 되니(如人之意)… ”
  이 때부터 ‘孝子손’을 如意라고 불렀는데 後에는 吉祥의 象徵이 되어 如意珠나 如意棒이라는 말이 나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439
323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66
322 淘 汰 이규 2013.05.28 1626
321 露 骨 이규 2013.05.29 1283
320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646
319 席 捲 이규 2013.05.31 1962
318 正 鵠 이규 2013.06.02 1620
317 臥薪嘗膽 이규 2013.06.03 1720
316 出 馬 이규 2013.06.04 1591
315 蜂 起 이규 2013.06.05 1630
314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1995
313 頭 角 이규 2013.06.07 1555
312 戰 國 이규 2013.06.09 1546
311 國 家 이규 2013.06.10 1489
310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542
309 身言書判 이규 2013.06.12 1716
308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533
307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674
306 誘 致 이규 2013.06.17 1645
305 迎 入 [1] 이규 2013.06.18 2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