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67
어제:
306
전체:
766,195

如意

2012.12.04 20:45

이규 조회 수:3226

如  같을 여
意  뜻 의


如意=마음 먹은 대로 됨

 

如는 ‘여자(女)란 男便의 말(口)에 잘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본디 ‘順從’을 뜻했다.  男便으로서는 자기 뜻과 같이 되었으므로 ‘같다’라는 뜻도 지니게 되었다. 

如實, 如此, 如何間이 있다.
  意는 音과 心의 結合이다.  사람의 心理 狀態는 마음{心}에서 비롯되어 말{音}로 나타나는 法이다.  그래서 意는 ‘뜻, 기분’이 된다. 

意見, 意思, 意志, 故意, 任意가 있다. 

따라서 如意라면 ‘뜻대로 되다’가 된다. 

우리 民譚에 登場하는 ‘도깨비 방망이’라고나 할까.

그러나 본디 如意는 그처럼 靈驗을 지닌 物件이 아니라 平凡하기 그지 없는 지금의 ‘孝子손’을 뜻했을 뿐이다.
  唐 玄宗이라면 楊貴妃와의 로멘스로 有名하다. 

한번은 國政을 돌보던 중 갑자기 등이 가려워 體面 不具하고 긁었다.  하지만 아무리 긁어도 손이 닿지 않아 시원치가 않았다. 

 이 때 臣下 나공원(羅公遠)이 얼른 대나무를 잘라 갖다 바쳤다. 

과연 구석구석까지 시원하게 긁어지는 것이 아닌가.  玄宗이 말했다.
  “ 허 그놈 참, 시원도 하다. 마음먹은 대로 다 되니(如人之意)… ”
  이 때부터 ‘孝子손’을 如意라고 불렀는데 後에는 吉祥의 象徵이 되어 如意珠나 如意棒이라는 말이 나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食言 lkplk 2013.01.29 1155
403 飜覆 이규 2013.01.29 1354
402 解體 이규 2013.01.31 1121
401 傾盆 셀라비 2013.01.31 1122
400 所聞 이규 2013.02.01 1571
399 刑罰 이규 2013.02.01 1597
398 洪水 이규 2013.02.02 1449
397 園頭幕 이규 2013.02.02 1422
396 菽麥 이규 2013.02.02 1577
395 秋毫 이규 2013.02.03 1441
394 長蛇陣 이규 2013.02.03 1605
393 秋霜 이규 2013.02.04 1596
392 師表 이규 2013.02.04 1658
391 寸志 이규 2013.02.06 1391
390 風塵 이규 2013.02.06 1811
389 名分 이규 2013.02.11 1559
388 獅子喉 이규 2013.02.12 1649
387 瓦斯 이규 2013.02.12 1581
386 杜鵑花 이규 2013.02.13 1799
385 膺懲 이규 2013.02.18 1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