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85
어제:
1,179
전체:
765,253

如意

2012.12.04 20:45

이규 조회 수:3215

如  같을 여
意  뜻 의


如意=마음 먹은 대로 됨

 

如는 ‘여자(女)란 男便의 말(口)에 잘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본디 ‘順從’을 뜻했다.  男便으로서는 자기 뜻과 같이 되었으므로 ‘같다’라는 뜻도 지니게 되었다. 

如實, 如此, 如何間이 있다.
  意는 音과 心의 結合이다.  사람의 心理 狀態는 마음{心}에서 비롯되어 말{音}로 나타나는 法이다.  그래서 意는 ‘뜻, 기분’이 된다. 

意見, 意思, 意志, 故意, 任意가 있다. 

따라서 如意라면 ‘뜻대로 되다’가 된다. 

우리 民譚에 登場하는 ‘도깨비 방망이’라고나 할까.

그러나 본디 如意는 그처럼 靈驗을 지닌 物件이 아니라 平凡하기 그지 없는 지금의 ‘孝子손’을 뜻했을 뿐이다.
  唐 玄宗이라면 楊貴妃와의 로멘스로 有名하다. 

한번은 國政을 돌보던 중 갑자기 등이 가려워 體面 不具하고 긁었다.  하지만 아무리 긁어도 손이 닿지 않아 시원치가 않았다. 

 이 때 臣下 나공원(羅公遠)이 얼른 대나무를 잘라 갖다 바쳤다. 

과연 구석구석까지 시원하게 긁어지는 것이 아닌가.  玄宗이 말했다.
  “ 허 그놈 참, 시원도 하다. 마음먹은 대로 다 되니(如人之意)… ”
  이 때부터 ‘孝子손’을 如意라고 불렀는데 後에는 吉祥의 象徵이 되어 如意珠나 如意棒이라는 말이 나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 破 格 이규 2013.10.07 1882
223 婚 姻 이규 2013.10.08 2833
222 兒 童 이규 2013.10.09 2281
221 曲學阿世 이규 2013.10.10 2531
220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1992
219 千字文 이규 2013.10.12 2078
218 幣 帛 이규 2013.10.13 1929
217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1934
216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863
215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1954
214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040
213 箴 言 이규 2013.10.19 1853
212 發祥地 이규 2013.10.20 2007
211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675
210 苛斂誅求 이규 2013.10.21 1758
209 義 擧 이규 2013.10.21 1759
208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1958
207 效 嚬 셀라비 2013.10.24 1884
206 問 津 이규 2013.10.25 1874
205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