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97
어제:
286
전체:
767,031

如意

2012.12.04 20:45

이규 조회 수:3240

如  같을 여
意  뜻 의


如意=마음 먹은 대로 됨

 

如는 ‘여자(女)란 男便의 말(口)에 잘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본디 ‘順從’을 뜻했다.  男便으로서는 자기 뜻과 같이 되었으므로 ‘같다’라는 뜻도 지니게 되었다. 

如實, 如此, 如何間이 있다.
  意는 音과 心의 結合이다.  사람의 心理 狀態는 마음{心}에서 비롯되어 말{音}로 나타나는 法이다.  그래서 意는 ‘뜻, 기분’이 된다. 

意見, 意思, 意志, 故意, 任意가 있다. 

따라서 如意라면 ‘뜻대로 되다’가 된다. 

우리 民譚에 登場하는 ‘도깨비 방망이’라고나 할까.

그러나 본디 如意는 그처럼 靈驗을 지닌 物件이 아니라 平凡하기 그지 없는 지금의 ‘孝子손’을 뜻했을 뿐이다.
  唐 玄宗이라면 楊貴妃와의 로멘스로 有名하다. 

한번은 國政을 돌보던 중 갑자기 등이 가려워 體面 不具하고 긁었다.  하지만 아무리 긁어도 손이 닿지 않아 시원치가 않았다. 

 이 때 臣下 나공원(羅公遠)이 얼른 대나무를 잘라 갖다 바쳤다. 

과연 구석구석까지 시원하게 긁어지는 것이 아닌가.  玄宗이 말했다.
  “ 허 그놈 참, 시원도 하다. 마음먹은 대로 다 되니(如人之意)… ”
  이 때부터 ‘孝子손’을 如意라고 불렀는데 後에는 吉祥의 象徵이 되어 如意珠나 如意棒이라는 말이 나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4 報勳 이규 2013.07.14 1779
283 蹴 鞠 이규 2013.07.16 2105
282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601
281 黃 砂 이규 2013.07.18 1893
280 嘗 糞 이규 2013.07.19 1824
279 快 擧 이규 2013.07.21 2040
278 歸 順 이규 2013.07.23 1930
277 誣 告 이규 2013.07.24 2010
276 家 庭 이규 2013.07.25 1912
275 春困症 이규 2013.07.27 1921
274 郊 外 이규 2013.07.28 2182
273 人 倫 이규 2013.07.29 2071
272 諮 問 이규 2013.07.31 1792
271 臨 終 이규 2013.08.01 2147
270 花 信 셀라비 2013.08.02 1954
269 苦 杯 이규 2013.08.03 2052
268 駭怪罔測 셀라비 2013.08.04 2253
267 會 計 이규 2013.08.05 1883
266 選 良 이규 2013.08.07 1941
265 櫛 比 이규 2013.08.08 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