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45
어제:
1,101
전체:
763,448

한자 花 信

2013.08.02 22:33

셀라비 조회 수:1881


花꽃화
信믿을신


 봄의 전령, 꽃 소식

 


  花는 草와 化의 結合이므로 「초목(草木)이 변화한 것」이다.  곧 옛 사람들은 꽃이 풀이나 나무가 자란 結果라고 보았다. 따라서 花는 ‘꽃’을 뜻한다. 화분(花盆)․화초(花草)․화훼(花卉)․개화(開花)․무궁화(無窮花)가 있다.
  信은 人과 言의 結合이다. 「사람(人)의 말(言)에는 信義가 있어야 한다」는 뜻에서 信의 본디 뜻은「신의」「믿음」이다.  물론 그 정도는 이제 상식(常識)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사람의 말을 전할 수 있는 것은 글이 아닌가. 그 중에 서도 便紙는 代表的인 경우며, 그것은 또 「소식」을 전하는 것이므로信은 「편지」나 「소식」도 뜻하게 되었다.
  서신(書信)이니 발신(發信)․수신(受信)․통신(通信)이 그런 경우다. 따라서 花信이라면 「꽃소식」이 된다. 봄을 느낄 수 있는 것은 많다. 졸졸 흐르는시냇물 소리도 되겠고 女人의 화사(華奢)한 치맛자락도 되겠다.  그러나 봄을 實感할 수 있는 것으로는 역시 꽃이 아닐까. 「삼천리(三千里)금수강산(錦繡江山)」이라고 했던가.  우리나라의 산과 들에는 꽃도 많다. 개나리․진달래가 흐드러지게 피면 온통 천자만홍(千紫萬紅)의 장관(壯觀)을 演出한다. 그뿐인가. 華奢한 벚꽃과 정염(情艶)을 象徵하는 복숭아꽃도 결코 뒤지지 않는다. 이 모두가 봄의 花信으로 족하다.  봄이 왔기에 到處에서 花信을 느낄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607
363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420
362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568
361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681
360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542
359 沐浴 [1] 이규 2013.04.08 1913
358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883
357 南柯一夢 이규 2013.04.11 2187
356 金城湯池 이규 2013.04.12 2769
355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576
354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211
353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647
352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16
351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13
350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702
349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515
348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651
347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435
346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744
345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