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28
어제:
1,101
전체:
763,331

한자 花 信

2013.08.02 22:33

셀라비 조회 수:1869


花꽃화
信믿을신


 봄의 전령, 꽃 소식

 


  花는 草와 化의 結合이므로 「초목(草木)이 변화한 것」이다.  곧 옛 사람들은 꽃이 풀이나 나무가 자란 結果라고 보았다. 따라서 花는 ‘꽃’을 뜻한다. 화분(花盆)․화초(花草)․화훼(花卉)․개화(開花)․무궁화(無窮花)가 있다.
  信은 人과 言의 結合이다. 「사람(人)의 말(言)에는 信義가 있어야 한다」는 뜻에서 信의 본디 뜻은「신의」「믿음」이다.  물론 그 정도는 이제 상식(常識)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사람의 말을 전할 수 있는 것은 글이 아닌가. 그 중에 서도 便紙는 代表的인 경우며, 그것은 또 「소식」을 전하는 것이므로信은 「편지」나 「소식」도 뜻하게 되었다.
  서신(書信)이니 발신(發信)․수신(受信)․통신(通信)이 그런 경우다. 따라서 花信이라면 「꽃소식」이 된다. 봄을 느낄 수 있는 것은 많다. 졸졸 흐르는시냇물 소리도 되겠고 女人의 화사(華奢)한 치맛자락도 되겠다.  그러나 봄을 實感할 수 있는 것으로는 역시 꽃이 아닐까. 「삼천리(三千里)금수강산(錦繡江山)」이라고 했던가.  우리나라의 산과 들에는 꽃도 많다. 개나리․진달래가 흐드러지게 피면 온통 천자만홍(千紫萬紅)의 장관(壯觀)을 演出한다. 그뿐인가. 華奢한 벚꽃과 정염(情艶)을 象徵하는 복숭아꽃도 결코 뒤지지 않는다. 이 모두가 봄의 花信으로 족하다.  봄이 왔기에 到處에서 花信을 느낄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376
343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293
342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220
341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680
340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29
339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177
338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43
337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700
336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34
33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19
334 關 鍵 이규 2013.05.14 1532
333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373
332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368
331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62
330 干 支 이규 2013.05.19 1303
329 分 野 이규 2013.05.20 1306
328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41
327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52
326 西 方 이규 2013.05.23 1500
325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