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12
어제:
783
전체:
770,072

經竹書難

2012.12.03 09:40

홍석균 조회 수:3102

經(지날 경竹(대 죽)書(글 서)難(여러울 난)
대나무 잎을 사용해 나쁜 행실을 기록하는데, 그 악행이 너무 많아 일일이 다 기록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나라가 망하려면 어질고 유능한 임금이 나오지 않는 법이다.
전한 마지막 황제인 평제가 바로 그런 인물로, 그는 어지러워진 나라를 바로잡을 뜻도 힘도 없이 오로지 향락만
일삼았다.
"이런 지경이면 내가 나서서 새 나라를 세운다 해도 백성들이 반대하지 않을 것이 아닌가!"
이런 야심을 품은 자가 황실의 외척인 왕망이었다.
그는 기회를 보다 황제를 독살하고 권력을 잡아 2~3년간 전횡하다가 마침내 스스로 황제가 되어 국호를 신이라
바꾸었다.
서기 8년 그리하여 한이란 나라는 없어지고 말았다.
이렇게 권력을 잡았지만 정치를 제대로 해 나갔으면 뒤탈이 없었을 것인데, 왕만에게는 그 정도 헤아릴 수 있는
지모가 없었다.
"이제 천하는 내 것이다.
그러니, 누가 뭐라 하겠는가?"
이렇게 기고만장한 왕망은 한심한 정책을 펼치기 시작했다.
먼저 왕전제라고 하여 전국의 토지를 국유화해버렸다.
그러니 지주 계급의 원한을 사지 않을 수 없었다.
거기에다 상공업과 이자 제도를 개선한다고 하면서 실제로는 백성들을 들볶아 착취했으며, 네 번에 걸친 화폐 개혁으로
사유 재산을 모두 국고에 귀속시켜 백성들을 떼거지로 만들었다.
그뿐만 아니라 호화찬란한 궁궐을 아홉 동이나 건립하는 바람에 노역에 동원된 백성들이 가혹한 노동으로 수없이
죽어 나갔고, 변방 국가를 상대로 공연한 전쟁을 일으켜 국력을 소모했다.
왕망의 악정에 대한 백성들의 원망이 극에 달하자, 감연히 일어선 사람이 서주 사람 외효였다.
"왕망의 죄는 너무 많아 초와 월의 대나무를 다 사용해 적어도 남을 정도다."
외효는 사방에 보내는 격문에다 이렇게 썼다.
당시는 종이가 발명되기 전이었으므로 죽간이라 하여 대나무를 쪼개 기록판으로 사용했던 것이다.
참고 견디던 농민들은 벌떼같이 일어나 반란에 가담했다.
마침내 농민군은 성도 낙양으로 진격하여 왕망을 잡아 죽였고, 유수를 황제로 옹립한 새 한나라인 후한이 탄생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4639
1137 ‘100 퍼센트 내 책임’이라는 주문의 힘 lkplk@hitel.net 2015.06.30 2779
1136 어려울 때일수록 공격 경영이 필요하다 LeeKyoo 2022.01.10 2778
1135 당신이 되고 싶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LeeKyoo 2016.09.22 2778
1134 남들도 기회라 생각한다면 때는 이미 늦은 것이다 셀라비 2016.07.26 2778
1133 정직하고 성실한 사람에게만 행운이 다가온다 셀라비 2015.01.09 2778
1132 비판은 쉼없이 들을수록 좋다. 이규 2013.10.15 2778
1131 운은 노력하는 사람을 따라 다닌다 LeeKyoo 2017.02.07 2777
1130 바람직한 두려움의 대상 이규 2013.10.02 2777
1129 공기라는 장애물이 없으면 독수리는 날지 못한다. 이규 2013.09.27 2777
1128 나는 변하는 것보다 변하지 않는 것에 주목한다 LeeKyoo 2021.04.20 2776
1127 벌레 먹은 나뭇잎 leekyoo 2017.05.02 2775
1126 포기하지 않고 버티면 더 나은 사람이 된다 leekyoo 2017.04.10 2775
1125 환경 탓이라는 말은 두 번 다시 하지마라 셀라비 2015.04.29 2775
1124 오늘 내 시간의 일부는 반드시 미래를 위해 쓰자. 이규 2013.11.05 2775
1123 누군가에게 받는 비판은 실보다 득이 될 가능성이 크다 LeeKyoo 2016.10.19 2774
1122 버릴 것 다 버리고 남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전략이다 leekyoo 2016.06.14 2774
1121 상사와 잘 지내는 법 lkplk@hitel.net 2015.07.06 2774
1120 나는 칭찬 받고 싶다 셀라비 2015.03.30 2774
1119 부정적인 말은 불가능을, 긍정은 가능을 불러온다 leekyoo 2017.05.11 2772
1118 어제의 나를 버릴 줄 아는 사람 leekyoo 2015.08.20 2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