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55
어제:
1,101
전체:
763,658

燕雀鴻鵠

2012.12.01 19:55

이규 조회 수:1327

燕 제비 연
雀 참새 작
鴻 기러기 홍
鵠 고니 혹

 

燕雀鴻鵠-군자와 소인배는 차원이 다름


흔히 ‘次元이 다르다’는 말을 한다.  莊子에 보면 ‘하루살이 버섯은 그늘을 모르고, 매미는 가을을 알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次元이 다르기 때문이다.  새 중에서도 次元이 다른 것이 있다.  기러기나 고니는 그 큰 몸집에다 높은 蒼空을 훨훨 날아 다닌다.  그래서 이 두 새는 예부터 ‘君子’의 象徵이었다.  반면 제비나 참새는 기껏해야 땅위를 스치듯 날며 모기 따위의 보잘 것 없는 벌레나 잡아 먹고 산다.  따라서 九萬里 蒼空을 나는 기러기나 고니의 氣像을 알기나 하랴.
  陳勝(字는 涉)은 秦나라 末期 한 부잣집의 일개 머슴이었다.  하루는 밭을 갈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歎息이 나왔다.  “將次 큰 인물이 되면 결코 오늘을 잊지 않으리라!”  그러자 周圍의 머슴들이 일제히 비웃고 나섰다.  “뭣이라고?  머슴인 주제에 큰 인물이 되겠다고?”  陳勝은 안타까운 듯이 말했다.  “제비나 참새 같은 작은 새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의 雄大한 抱負를 알랴!”
  後에 陳勝은 吳廣과 함께 反旗를 들면서 有名한 말을 남겼다.  “王侯將相이 어찌 씨가 있을소냐?”  이 때부터 燕雀은 ‘小人輩’, 鴻鵠은 ‘君子’를 뜻하게 되었다.
  一部에서 鴻鵠(홍혹)을 ‘홍곡’으로 발음하는데 鵠이 ‘과녁’을 뜻하는 경우(正鵠, 鵠的 등)가 아니면 ‘혹’으로 發音하는 것이 옳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 狼 藉 셀라비 2014.01.21 1645
183 鵬程萬里 이규 2013.10.03 1645
182 猶 豫 셀라비 2014.04.23 1642
181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636
180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35
179 換骨奪胎 셀라비 2014.01.13 1634
178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633
177 感慨無量 셀라비 2014.11.25 1632
176 公 約 셀라비 2014.05.27 1625
175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624
174 膺懲 이규 2013.02.18 1620
173 文化 이규 2012.12.03 1619
172 誘 致 이규 2013.06.17 1618
171 家 臣 셀라비 2014.02.24 1616
170 師表 이규 2013.02.04 1616
169 獅子喉 이규 2013.02.12 1615
168 復舊 이규 2012.11.05 1615
167 官 吏 셀라비 2014.03.23 1613
166 陳 情 이규 2013.06.23 1613
165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