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74
어제:
1,186
전체:
764,563

燕雀鴻鵠

2012.12.01 19:55

이규 조회 수:1336

燕 제비 연
雀 참새 작
鴻 기러기 홍
鵠 고니 혹

 

燕雀鴻鵠-군자와 소인배는 차원이 다름


흔히 ‘次元이 다르다’는 말을 한다.  莊子에 보면 ‘하루살이 버섯은 그늘을 모르고, 매미는 가을을 알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次元이 다르기 때문이다.  새 중에서도 次元이 다른 것이 있다.  기러기나 고니는 그 큰 몸집에다 높은 蒼空을 훨훨 날아 다닌다.  그래서 이 두 새는 예부터 ‘君子’의 象徵이었다.  반면 제비나 참새는 기껏해야 땅위를 스치듯 날며 모기 따위의 보잘 것 없는 벌레나 잡아 먹고 산다.  따라서 九萬里 蒼空을 나는 기러기나 고니의 氣像을 알기나 하랴.
  陳勝(字는 涉)은 秦나라 末期 한 부잣집의 일개 머슴이었다.  하루는 밭을 갈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歎息이 나왔다.  “將次 큰 인물이 되면 결코 오늘을 잊지 않으리라!”  그러자 周圍의 머슴들이 일제히 비웃고 나섰다.  “뭣이라고?  머슴인 주제에 큰 인물이 되겠다고?”  陳勝은 안타까운 듯이 말했다.  “제비나 참새 같은 작은 새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의 雄大한 抱負를 알랴!”
  後에 陳勝은 吳廣과 함께 反旗를 들면서 有名한 말을 남겼다.  “王侯將相이 어찌 씨가 있을소냐?”  이 때부터 燕雀은 ‘小人輩’, 鴻鵠은 ‘君子’를 뜻하게 되었다.
  一部에서 鴻鵠(홍혹)을 ‘홍곡’으로 발음하는데 鵠이 ‘과녁’을 뜻하는 경우(正鵠, 鵠的 등)가 아니면 ‘혹’으로 發音하는 것이 옳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傾盆 셀라비 2013.01.31 1082
83 解體 이규 2013.01.31 1088
82 飜覆 이규 2013.01.29 1307
81 食言 lkplk 2013.01.29 1113
80 赦免 [1] 이규 2013.01.27 1331
79 波紋 이규 2013.01.27 1348
78 香肉 이규 2013.01.25 1071
77 汚染 이규 2013.01.24 1198
76 納凉 이규 2013.01.23 1099
75 變姓名 이규 2013.01.22 1147
74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209
73 一瀉千里 이규 2013.01.20 1072
72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132
71 出師表 이규 2013.01.18 1138
70 左遷 이규 2013.01.17 1136
69 伯仲勢 이규 2013.01.16 1099
68 籠絡 이규 2013.01.15 1073
67 阿鼻叫喚 [2] 이규 2013.01.14 1081
66 崩壞 이규 2013.01.13 1132
65 葡萄 이규 2013.01.09 1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