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6
어제:
776
전체:
770,872

燕雀鴻鵠

2012.12.01 19:55

이규 조회 수:1412

燕 제비 연
雀 참새 작
鴻 기러기 홍
鵠 고니 혹

 

燕雀鴻鵠-군자와 소인배는 차원이 다름


흔히 ‘次元이 다르다’는 말을 한다.  莊子에 보면 ‘하루살이 버섯은 그늘을 모르고, 매미는 가을을 알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次元이 다르기 때문이다.  새 중에서도 次元이 다른 것이 있다.  기러기나 고니는 그 큰 몸집에다 높은 蒼空을 훨훨 날아 다닌다.  그래서 이 두 새는 예부터 ‘君子’의 象徵이었다.  반면 제비나 참새는 기껏해야 땅위를 스치듯 날며 모기 따위의 보잘 것 없는 벌레나 잡아 먹고 산다.  따라서 九萬里 蒼空을 나는 기러기나 고니의 氣像을 알기나 하랴.
  陳勝(字는 涉)은 秦나라 末期 한 부잣집의 일개 머슴이었다.  하루는 밭을 갈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歎息이 나왔다.  “將次 큰 인물이 되면 결코 오늘을 잊지 않으리라!”  그러자 周圍의 머슴들이 일제히 비웃고 나섰다.  “뭣이라고?  머슴인 주제에 큰 인물이 되겠다고?”  陳勝은 안타까운 듯이 말했다.  “제비나 참새 같은 작은 새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의 雄大한 抱負를 알랴!”
  後에 陳勝은 吳廣과 함께 反旗를 들면서 有名한 말을 남겼다.  “王侯將相이 어찌 씨가 있을소냐?”  이 때부터 燕雀은 ‘小人輩’, 鴻鵠은 ‘君子’를 뜻하게 되었다.
  一部에서 鴻鵠(홍혹)을 ‘홍곡’으로 발음하는데 鵠이 ‘과녁’을 뜻하는 경우(正鵠, 鵠的 등)가 아니면 ‘혹’으로 發音하는 것이 옳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470
343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413
342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340
341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800
340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556
339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294
338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345
337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837
336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546
33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2059
334 關 鍵 이규 2013.05.14 1638
333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507
332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470
331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605
330 干 支 이규 2013.05.19 1420
329 分 野 이규 2013.05.20 1412
328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70
327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360
326 西 方 이규 2013.05.23 1611
325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