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66
어제:
257
전체:
762,468

한자 問 鼎

2013.11.23 19:33

이규 조회 수:1941

問 鼎

물을

 

 

왕권의 상징인 솥의 무게를 물음

침략 의미

 

 

은 대문()사이로 입()을 삐죽이 내밀면서 묻는 模襲이며, ()은대문()사이에 귀()를 갖다대고 엿듣는 模襲이다.들을 문자다.()은 세발 달린 솥의 모양에서 나온 글자다.정족지세(鼎足之勢)니 정립(鼎立)이라면 天下三分形勢三國時代를 뜻하며 정신(鼎臣)은 솥의 세 발처럼 나라를 받들고 있는 重要 大臣을 말한다.본디 은 옛날 우()가 만든 개의 솥에서 유래했다.그는 各地動植物을 새겨 百姓들이 安全하게 旅行할 수 있도록 했다.一種旅行 案內書였던 셈이다.그것을 帝王들이하나씩 가져가 國寶로 삼는 바람에 王權象徵으로 되었다.

春秋時代 ()의 장왕(莊王)은 오랑캐를 친다는 口實로 주()都邑地인 낙양(洛陽)校外까지 쳐들어왔다.정왕(定王)使臣 왕손만(王孫滿)을 보내자 말했다.

에는 보정(寶鼎)이 있다고 들었는데 도대체 그 무게가 얼마나 되는 것이오.그러자 본디 임기응변(臨機應變)했던 王孫滿은 재치있게 되받아넘겼다. 자고로 帝王覇業은 덕()에 있지 寶鼎의 무게에 있는 것은 아닌줄 아뢰오.莊王은 겸연쩍어 軍士撤收했다.

문정(問鼎)솥의 무게를 묻는다는 뜻으로 相對方侵略한다는 뜻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784
403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425
402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781
401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13
400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371
399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428
398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491
397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777
396 矛 盾 셀라비 2014.08.19 1479
395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15
394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721
393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376
392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465
391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676
390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580
389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07
388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666
387 杜 撰 셀라비 2014.07.10 1588
386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600
385 投 抒 셀라비 2014.07.03 1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