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96
어제:
306
전체:
766,224

高枕而臥

2012.11.30 22:16

이규 조회 수:1545

高 높을 고
枕 베개 침
而 어조사 이
臥 누을 와


高枕而臥-베개를 높이고 마음 편히 잠

 

戰國末 뛰어난 外交術로 諸侯들을 遊說해 秦始皇에게 覇業의 基礎를 提供한 이는 다름아닌 張儀였다.  먼저 蘇秦이 六國을 돌면서 合從策을 成功시키자 危機感을 느낀 秦이 張儀를 써서 合從策을 瓦解시키고 연횡책(連衡策)을 펴도록 한다.  秦이 아무리 强大國이었다고는 하지만 여섯 나라가 聯合하는데는 당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 첫번째 標的이 된 나라는 魏나라 였다.  張儀가 哀王을 說得해 말했다.  “魏나라는 小國에다 軍士가 30萬에 不過합니다.  게다가 國土가 平坦해 길이 四通八達로 나 있으며, 四方으로 齊, 韓, 楚, 趙와 이웃해 있어 戰爭터가 되기 쉽상입니다.  따라서 잘못 聯合했다가는 四分五裂될 수 있지요.  비록 白馬를 베어 피를 마시면서 合從을 盟約해도 다투는 일이 非一非再한데 그까짓 約束이 무슨 所用있겠습니까?  생각컨대 魏나라는 秦을 섬기는 것보다 더 나은 方策이 없습니다.  秦을 섬기면 楚, 韓은 움직이지 못할 것이며, 魏나라에 그들의 威脅이 없다면 大王은 베개를 높이하여 便安히 잘 수 있고{高枕而臥} 나라에 憂患이 있을 까닭이 없지요.”
  魏의 哀王은 그만 그의 세치혀{三寸舌}에 넘어가고 말았다.  결국 魏나라는 合從策을 포기(抛棄)하고 連衡(연횡)의 隊列에 加擔하는 첫번째 나라가 되었다.  이 때부터 秦은 合從을 瓦解시킨 다음 마침내 魏나라를 包含한 六國을 滅亡시키고 만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古色蒼然 셀라비 2015.04.18 2308
443 兒 童 이규 2013.10.09 2291
442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278
441 累卵之危 LeeKyoo 2014.02.02 2269
440 迎 入 [1] 이규 2013.06.18 2269
439 欲速不達 이규 2013.09.13 2268
438 季布一諾 셀라비 2015.01.03 2261
437 鷄肋 셀라비 2014.12.17 2261
436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258
435 契酒生面 셀라비 2014.12.18 2255
434 南柯一夢 이규 2013.04.11 2255
433 井底之蛙 이규 2013.10.05 2252
432 改 革 이규 2013.09.19 2250
431 駭怪罔測 셀라비 2013.08.04 2244
430 셀라비 2015.04.02 2230
429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230
428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219
427 조카 이규 2015.04.21 2213
426 겻불 셀라비 2015.04.12 2206
425 總 統 이규 2013.08.19 2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