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85
어제:
1,186
전체:
764,674

한자 貢 獻

2013.11.16 20:29

이규 조회 수:1829

貢 獻

바칠

드릴

 

 

봉건시대 천자에 값진 특산품을

바친데서 유래

 

 

()精巧한 것(와 동일)이나 값진 것()을 뜻하며, ()은 옛날 中國 宮中 祭祀祭物로 호랑이 가죽(의 생략)과 가마솥()에 푹 삶은 개()고기를 바친데서()나온 글자다.따라서 의 본 뜻은 祭物바치다가 된다.中國은 땅이 넓어 天子地方에 여러 諸侯를 두어다스렸다.둘의 관계는 從屬的이지만 形式에 불과할 뿐 諸侯獨自的으로 나라를 다스렸다.이를테면 徹底地方自治制였던 셈이다(封建制度).다만 매년 일정한 時期諸侯天子를 뵙고(朝謁) 년간의 政治報告하면서 저는 신하입니다라는 내용을 確認하는 것으로 그쳤다.

그런데 예나 지금이나 남을 訪問할 때 빈손으로 가는 것은 失禮였다.그래서 諸侯誠意를 표하기 위해 若干膳物을 휴대(携帶)하곤 했다.하지만 앞서 말한대로 中國땅이 넓어 없는 것이 없었기 때문에(地大物博) 어지간한 膳物로는 天子滿足시킬 수 없었다.그래서 諸侯들은 자기 지방의 特産品()을 골라 바치곤 했는데(), 그것이 공헌(貢獻)이며 天子를 뵙고(朝謁)貢獻하는 것을 합쳐 조공(朝貢)이라고 한다.

이렇게 보면 貢獻封建時代産物인 셈이다.지금도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그것보다는 기여(寄與)라는 말이 어떨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4 洛陽紙貴 셀라비 2013.10.29 1751
243 猖 獗 이규 2013.11.06 1751
242 傍若無人 셀라비 2013.11.26 1751
241 庭 訓 이규 2014.01.03 1751
240 狡 猾 셀라비 2014.03.13 1752
239 諮 問 이규 2013.07.31 1753
238 濫 觴 셀라비 2014.06.20 1753
237 身土不二 이규 2013.11.04 1755
236 燎原之火 이규 2013.03.14 1757
235 品 評 셀라비 2014.06.24 1757
234 鼎 革 이규 2013.12.09 1759
233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759
232 鍛 鍊 셀라비 2013.12.12 1761
231 逐 鹿 셀라비 2013.12.25 1761
230 解語花 셀라비 2013.12.23 1766
229 洞 房 셀라비 2014.07.02 1766
228 杜鵑花 이규 2013.02.13 1769
227 鼓 舞 이규 2013.11.01 1770
226 社 會 셀라비 2014.03.18 1774
225 玉 石 LeeKyoo 2014.02.12 1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