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53
어제:
1,101
전체:
763,556

千慮一得

2012.11.28 22:32

이규 조회 수:1226

千 일천 천
慮 생각 려
一 한 일
得 얻을 득


千慮一得- 천번 생각에 한번은 맞음, 겸손을 뜻함


 ‘背水陣’은 漢의 韓信이 趙의 二十萬 大軍을 潰滅시킨 古事에서 나왔다.  여기에는 韓信의 뛰어난 計策도 있었지만 趙나라의 失手도 큰 몫을 했다.  韓信이 趙를 치려하자 趙王의 謨士 이좌거(李佐車)는 成安君이 陳餘에게 3萬의 軍隊만 보내 주면 韓信이 쳐들어 오는 길목을 끊어 놓겠다고 했다.  그러나 陳餘는 이 말을 듣지 않고 結局 大敗해 죽고 만다.  戰爭이 熾烈할 때 韓信은 千金의 懸賞金을 걸어 李左車를 生捕해 그를 上座에 앉히고는 스승으로 삼았다.  韓信이 물었다.  “이제 北으로는 燕, 東으로는 濟를 칠 計劃인데 어떻게 해야 겠소?”  李左車는 말하기를 辭讓하지만 韓信의 끈덕진 要求에 하는 수 없이 입을 열었다.  “知慧로운 사람도 천번 생각에 한번 실수는 있는 법이고{智者千慮, 必有一失}, 어리석은 사람도 천번 생각하면 반드시 한번쯤은 맞는 법입니다{愚者千慮, 必有一得}.  그래서 聖人도 때로는 미치광이의 말을 믿지요{狂失之言, 聖人擇焉}.”  이렇게 序頭를 꺼낸 그는 長短點을 들어 가면서 韓信을 說得해 先虛後實(먼저 안심시킨 다음에 침)의 作戰으로 燕을 쉽게 服從시킬 수 있었다.
  여기서 智者는 陳餘를,愚者는 自身을 指稱한다.  이때부터 千慮一得은 自身의 謙遜을 뜻하는 말로 使用되게 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398
343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311
342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239
341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704
340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45
339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195
338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64
337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721
336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51
33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38
334 關 鍵 이규 2013.05.14 1550
333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392
332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384
331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92
330 干 支 이규 2013.05.19 1327
329 分 野 이규 2013.05.20 1328
328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69
327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69
326 西 方 이규 2013.05.23 1519
325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