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3
어제:
289
전체:
769,350

明鏡止水

2012.11.27 20:45

이규 조회 수:1365

明 밝을 명
鏡 거울 경
止 그칠 지
水 물 수


明鏡止水- 깨끗한 거울과 잔잔한 물


莊子의 德充符는 不具者들을 登場시켜 外觀을 超越한 內面의 境地가 얼마나 重要한지를 보여준다.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옛날 魯의 왕태(王跆)는 올형(兀刑-발꿈치를 자르는 형벌)을 받았지만 따르는 弟子가 어찌나 많은지 孔子에 버금갈 정도였다.  그래서 孔子의 제자 常季가 孔子에게 王邰의 爲人에 대해 물었다.  “그는 聖人이다 … 흐르는 물에 얼굴을 비춰 보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대신 누구나 흐르지 않는 조용한 물{止水}에 自身을 비추어 보지.  요컨대 그는 마음의 平靜을 가진 분이다.”  곧 孔子는 王邰가 지닌 마음의 平靜을 止水에 比喩했던 것이다.
  莊子의 같은 편에 비슷한 이야기가 또 있다.  申徒嘉 역시 兀刑을 받은 사람이다.  鄭의 大夫 子産과 함께 伯昏無人을 스승으로 섬겼는데 子産은 申徒嘉를 不具라고 업신여겨 同席하는 것을 꺼렸다.  그러자 申徒嘉가 말했다.  “俗談에 ‘거울이 맑으면{鑑明} 먼지가 묻지 않으며 먼지가 묻으면 거울이 흐려진다.  어진 者와 함께하면 過失이 없게 되는 법이다‘라고 했소.”
  ‘거울이 맑다(鑑明)’는 바로 ‘賢者의 맑고 깨끗한 마음’을 比喩하는데 鑑과 鏡이 같은 ‘거울’을 뜻하므로 후에 鑑明이 明鏡으로 바뀌었다.
  곧 明鏡止水는 본디 君子의 티없이 맑고 깨끗한 마음을 뜻하는 말이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921
303 寒心 이규 2012.11.10 1921
302 豈有此理 이규 2013.10.31 1914
301 貢 獻 이규 2013.11.16 1912
300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912
299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1911
298 富 貴 셀라비 2014.06.16 1909
297 箴 言 이규 2013.10.19 1906
296 天安門 이규 2013.09.22 1906
295 季布一諾 셀라비 2014.05.24 1905
294 紅 塵 셀라비 2014.03.09 1899
293 從容有常 셀라비 2014.01.17 1898
292 角 逐 셀라비 2013.11.14 1897
291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97
290 雙 喜 셀라비 2014.02.16 1896
289 坐 礁 이규 2013.07.09 1894
288 蛇 足 셀라비 2014.10.24 1891
287 咫 尺 LeeKyoo 2013.12.15 1888
286 非 理 이규 2013.09.26 1885
285 尋 常 셀라비 2013.12.18 18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