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22
어제:
1,186
전체:
764,711

明鏡止水

2012.11.27 20:45

이규 조회 수:1308

明 밝을 명
鏡 거울 경
止 그칠 지
水 물 수


明鏡止水- 깨끗한 거울과 잔잔한 물


莊子의 德充符는 不具者들을 登場시켜 外觀을 超越한 內面의 境地가 얼마나 重要한지를 보여준다.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옛날 魯의 왕태(王跆)는 올형(兀刑-발꿈치를 자르는 형벌)을 받았지만 따르는 弟子가 어찌나 많은지 孔子에 버금갈 정도였다.  그래서 孔子의 제자 常季가 孔子에게 王邰의 爲人에 대해 물었다.  “그는 聖人이다 … 흐르는 물에 얼굴을 비춰 보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대신 누구나 흐르지 않는 조용한 물{止水}에 自身을 비추어 보지.  요컨대 그는 마음의 平靜을 가진 분이다.”  곧 孔子는 王邰가 지닌 마음의 平靜을 止水에 比喩했던 것이다.
  莊子의 같은 편에 비슷한 이야기가 또 있다.  申徒嘉 역시 兀刑을 받은 사람이다.  鄭의 大夫 子産과 함께 伯昏無人을 스승으로 섬겼는데 子産은 申徒嘉를 不具라고 업신여겨 同席하는 것을 꺼렸다.  그러자 申徒嘉가 말했다.  “俗談에 ‘거울이 맑으면{鑑明} 먼지가 묻지 않으며 먼지가 묻으면 거울이 흐려진다.  어진 者와 함께하면 過失이 없게 되는 법이다‘라고 했소.”
  ‘거울이 맑다(鑑明)’는 바로 ‘賢者의 맑고 깨끗한 마음’을 比喩하는데 鑑과 鏡이 같은 ‘거울’을 뜻하므로 후에 鑑明이 明鏡으로 바뀌었다.
  곧 明鏡止水는 본디 君子의 티없이 맑고 깨끗한 마음을 뜻하는 말이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陳 情 이규 2013.06.23 1624
323 不惑 이규 2012.12.17 1626
322 師表 이규 2013.02.04 1629
321 雲 雨 셀라비 2013.11.02 1630
320 獅子喉 이규 2013.02.12 1632
319 誘 致 이규 2013.06.17 1632
318 膺懲 이규 2013.02.18 1634
317 官 吏 셀라비 2014.03.23 1634
316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635
315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636
314 家 臣 셀라비 2014.02.24 1638
313 復舊 이규 2012.11.05 1639
312 破廉恥 이규 2012.11.24 1642
311 文化 이규 2012.12.03 1644
310 凱 旋 yikyoo 2014.06.11 1644
309 公 約 셀라비 2014.05.27 1645
308 換骨奪胎 셀라비 2014.01.13 1654
307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55
306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656
305 感慨無量 셀라비 2014.11.25 1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