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50
어제:
783
전체:
770,110

한자 臨 終

2013.08.01 20:28

이규 조회 수:2201


臨임할임
終마칠종


 부모나 조상의 죽음을 지켜봄

 


  臨은 臣․人․品의 結合이다. 臣下는 늘 임금앞에서 몸을 굽혀야 한다. 그래서 臣은 「몸을 굽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사람(人)이 몸을 굽히고 있는 것이 臥(누울 와)다. 品은 세개의 입, 즉 「많은 사람」에서 지금은 「많은 사물」도 뜻하게 되었다. 따라서 臨은 몸을 굽혀 많은 사람이나 사물을굽어보고 있는 形象이다. 비슷한 글자에 그릇(皿)을 쳐다본다는 뜻의 監(볼감)도 있다. 그런데 굽어보기 위해서는 다가가야 하므로 臨은「임하다」는 뜻도 있다. 임기응변(臨機應變)․임박(臨迫)․왕림(枉臨)이 그렇다.
  終은 멱와 冬의 合成字다. 멱는 「실」,冬은 「겨울」로서 1년의 「끝」을 意味한다. 그렇다면 終은 「실의 끝」이 아닌가. 옛날 실을 뽑을 때 실끝이 풀리는 것을 막기 위해 묶어두었던 데서 緣由한다. 물론 後에 終은 「끝」이라는 뜻을 가지게 된다. 종결(終結)․종점(終點)․종료(終了)․시종(始終)․최종(最終)등이 그렇다.
  곧 臨終이라면 「끝을 보기 위해 임하는 것」이다. 사람이 죽는 것을 終이라고 했기 때문에 臨終은 자식이 부모의 죽음을 지켜보면서 마지막으로 보내는것을 의미한다.그런 만큼 자식으로서 臨終은 꼭 해야 하며 臨終을 하지 못한자식은 스스로 不孝라고 여겼다.
   공자(孔子)의 弟子중 孝道로 有名한 증자(曾子)는「신종추원(愼終追遠)」이라는 말을 남겼다.부모의 臨終부터 葬禮까지 精誠을 다해 愼重히 처리하고 먼 祖上일지라도 잊지 않고 誠心껏 祭祀를 올리라는 뜻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653
423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531
422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540
421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1912
420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714
419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581
418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508
417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492
416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663
415 蛇 足 셀라비 2014.10.24 1911
414 無用之用 셀라비 2014.10.21 2710
413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2048
412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510
411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470
410 首鼠兩端 셀라비 2014.09.29 1772
409 白 眉 셀라비 2014.09.26 1525
408 武陵桃源 셀라비 2014.09.25 1451
407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997
406 古 稀 셀라비 2014.09.22 1510
405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1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