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18
어제:
284
전체:
767,336

한자 臨 終

2013.08.01 20:28

이규 조회 수:2151


臨임할임
終마칠종


 부모나 조상의 죽음을 지켜봄

 


  臨은 臣․人․品의 結合이다. 臣下는 늘 임금앞에서 몸을 굽혀야 한다. 그래서 臣은 「몸을 굽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사람(人)이 몸을 굽히고 있는 것이 臥(누울 와)다. 品은 세개의 입, 즉 「많은 사람」에서 지금은 「많은 사물」도 뜻하게 되었다. 따라서 臨은 몸을 굽혀 많은 사람이나 사물을굽어보고 있는 形象이다. 비슷한 글자에 그릇(皿)을 쳐다본다는 뜻의 監(볼감)도 있다. 그런데 굽어보기 위해서는 다가가야 하므로 臨은「임하다」는 뜻도 있다. 임기응변(臨機應變)․임박(臨迫)․왕림(枉臨)이 그렇다.
  終은 멱와 冬의 合成字다. 멱는 「실」,冬은 「겨울」로서 1년의 「끝」을 意味한다. 그렇다면 終은 「실의 끝」이 아닌가. 옛날 실을 뽑을 때 실끝이 풀리는 것을 막기 위해 묶어두었던 데서 緣由한다. 물론 後에 終은 「끝」이라는 뜻을 가지게 된다. 종결(終結)․종점(終點)․종료(終了)․시종(始終)․최종(最終)등이 그렇다.
  곧 臨終이라면 「끝을 보기 위해 임하는 것」이다. 사람이 죽는 것을 終이라고 했기 때문에 臨終은 자식이 부모의 죽음을 지켜보면서 마지막으로 보내는것을 의미한다.그런 만큼 자식으로서 臨終은 꼭 해야 하며 臨終을 하지 못한자식은 스스로 不孝라고 여겼다.
   공자(孔子)의 弟子중 孝道로 有名한 증자(曾子)는「신종추원(愼終追遠)」이라는 말을 남겼다.부모의 臨終부터 葬禮까지 精誠을 다해 愼重히 처리하고 먼 祖上일지라도 잊지 않고 誠心껏 祭祀를 올리라는 뜻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如意 이규 2012.12.04 3248
463 애벌빨래 이규 2015.05.21 3245
462 섭씨 셀라비 2015.05.19 3243
461 푼돈 셀라비 2015.07.14 3228
460 屋上架屋 셀라비 2013.09.30 3192
459 잡동사니 이규 2015.05.26 3159
458 閏月 이규 2012.11.08 3012
457 婚 姻 이규 2013.10.08 2878
456 金城湯池 이규 2013.04.12 2831
455 千里馬 셀라비 2014.01.15 2711
454 無用之用 셀라비 2014.10.21 2663
453 曲學阿世 이규 2013.10.10 2566
452 浩然之氣 셀라비 2013.10.02 2545
451 國 語 이규 2013.09.29 2464
450 한자어의 짜임 - 병렬관계 이규 2012.11.24 2427
449 結草報恩 셀라비 2014.12.06 2389
448 監 獄 이규 2013.09.02 2381
447 復 古 셀라비 2014.03.04 2370
446 裁 判 이규 2013.08.21 2366
445 幾 何 이규 2013.09.24 2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