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13
어제:
324
전체:
768,237

한자 臨 終

2013.08.01 20:28

이규 조회 수:2166


臨임할임
終마칠종


 부모나 조상의 죽음을 지켜봄

 


  臨은 臣․人․品의 結合이다. 臣下는 늘 임금앞에서 몸을 굽혀야 한다. 그래서 臣은 「몸을 굽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사람(人)이 몸을 굽히고 있는 것이 臥(누울 와)다. 品은 세개의 입, 즉 「많은 사람」에서 지금은 「많은 사물」도 뜻하게 되었다. 따라서 臨은 몸을 굽혀 많은 사람이나 사물을굽어보고 있는 形象이다. 비슷한 글자에 그릇(皿)을 쳐다본다는 뜻의 監(볼감)도 있다. 그런데 굽어보기 위해서는 다가가야 하므로 臨은「임하다」는 뜻도 있다. 임기응변(臨機應變)․임박(臨迫)․왕림(枉臨)이 그렇다.
  終은 멱와 冬의 合成字다. 멱는 「실」,冬은 「겨울」로서 1년의 「끝」을 意味한다. 그렇다면 終은 「실의 끝」이 아닌가. 옛날 실을 뽑을 때 실끝이 풀리는 것을 막기 위해 묶어두었던 데서 緣由한다. 물론 後에 終은 「끝」이라는 뜻을 가지게 된다. 종결(終結)․종점(終點)․종료(終了)․시종(始終)․최종(最終)등이 그렇다.
  곧 臨終이라면 「끝을 보기 위해 임하는 것」이다. 사람이 죽는 것을 終이라고 했기 때문에 臨終은 자식이 부모의 죽음을 지켜보면서 마지막으로 보내는것을 의미한다.그런 만큼 자식으로서 臨終은 꼭 해야 하며 臨終을 하지 못한자식은 스스로 不孝라고 여겼다.
   공자(孔子)의 弟子중 孝道로 有名한 증자(曾子)는「신종추원(愼終追遠)」이라는 말을 남겼다.부모의 臨終부터 葬禮까지 精誠을 다해 愼重히 처리하고 먼 祖上일지라도 잊지 않고 誠心껏 祭祀를 올리라는 뜻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517
403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26
402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32
401 割據 셀라비 2012.11.09 1534
400 妥結 이규 2012.12.02 1535
399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535
398 封套 이규 2012.11.19 1536
397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536
396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541
395 颱 風 이규 2013.07.12 1541
394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541
393 兩立 이규 2012.12.13 1542
392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544
391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45
390 景福 셀라비 2012.10.31 1553
389 似而非 이규 2013.03.21 1555
388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557
387 民心 이규 2012.12.09 1560
386 跛行 이규 2013.03.18 1562
385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