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61
어제:
1,186
전체:
764,550

한자 臨 終

2013.08.01 20:28

이규 조회 수:2087


臨임할임
終마칠종


 부모나 조상의 죽음을 지켜봄

 


  臨은 臣․人․品의 結合이다. 臣下는 늘 임금앞에서 몸을 굽혀야 한다. 그래서 臣은 「몸을 굽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사람(人)이 몸을 굽히고 있는 것이 臥(누울 와)다. 品은 세개의 입, 즉 「많은 사람」에서 지금은 「많은 사물」도 뜻하게 되었다. 따라서 臨은 몸을 굽혀 많은 사람이나 사물을굽어보고 있는 形象이다. 비슷한 글자에 그릇(皿)을 쳐다본다는 뜻의 監(볼감)도 있다. 그런데 굽어보기 위해서는 다가가야 하므로 臨은「임하다」는 뜻도 있다. 임기응변(臨機應變)․임박(臨迫)․왕림(枉臨)이 그렇다.
  終은 멱와 冬의 合成字다. 멱는 「실」,冬은 「겨울」로서 1년의 「끝」을 意味한다. 그렇다면 終은 「실의 끝」이 아닌가. 옛날 실을 뽑을 때 실끝이 풀리는 것을 막기 위해 묶어두었던 데서 緣由한다. 물론 後에 終은 「끝」이라는 뜻을 가지게 된다. 종결(終結)․종점(終點)․종료(終了)․시종(始終)․최종(最終)등이 그렇다.
  곧 臨終이라면 「끝을 보기 위해 임하는 것」이다. 사람이 죽는 것을 終이라고 했기 때문에 臨終은 자식이 부모의 죽음을 지켜보면서 마지막으로 보내는것을 의미한다.그런 만큼 자식으로서 臨終은 꼭 해야 하며 臨終을 하지 못한자식은 스스로 不孝라고 여겼다.
   공자(孔子)의 弟子중 孝道로 有名한 증자(曾子)는「신종추원(愼終追遠)」이라는 말을 남겼다.부모의 臨終부터 葬禮까지 精誠을 다해 愼重히 처리하고 먼 祖上일지라도 잊지 않고 誠心껏 祭祀를 올리라는 뜻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419
343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331
342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263
341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720
340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63
339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223
338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91
337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742
336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78
33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62
334 關 鍵 이규 2013.05.14 1571
333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409
332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397
331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513
330 干 支 이규 2013.05.19 1355
329 分 野 이규 2013.05.20 1345
328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97
327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88
326 西 方 이규 2013.05.23 1540
325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