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57
어제:
305
전체:
766,490

戰戰兢兢

2012.11.25 15:04

이규 조회 수:1139

戰 싸울 전
兢 떨 긍

 

戰戰兢兢- 두려워서 몹시 떠는 상태


흔히 戰이라면 ‘싸우다’라는 뜻으로만 알고 있다.  戰爭, 戰鬪, 激戰 등이 그렇다.  하지만 ‘두려워 벌벌 떤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戰慄이 그 境遇다.  따라서 戰戰이나 兢兢은 둘다 ‘두려워 몹시 떠는 狀態’를 가리킨다.
  曾子는 孔子의 首弟子로 특히 孝行으로 有名하다.  그가 孝를 논한 [孝經]에 보면 다음과 같은 孔子의 말이 엿보인다.  “모든 身體는 父母로 부터 받은 것이니 함부로 損傷시키지 않는 것이 孝의 첫걸음이요…” {身體髮膚, 受諸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그는 平生 동안 孔子의 말씀을 鐵則으로 삼고 지켰다.  그래서 臨終때 弟子들을 불러 행여 自身의 肉身에 損傷된 부분이 없는지 손과 발을 자세히 살펴보게 했다.  그러면서 [詩經]의 詩를 引用했다.
    戰戰兢兢 - 언제나 벌벌 떨면서
    如臨深淵 - 마치 깊은 못가에 있는 듯!
  그것은 자신이 孔子의 그 말씀을 지키기 위해 平生토록 戰戰兢兢, 마치 살얼음을 밟듯이 살아왔다는 뜻이다.  곧 戰戰兢兢은 본디 행여 잘못을 범하지나 않았는지 두려워 벌벌 떠는 데서 나온 말로 좋은 意味였음을 알 수 있다.  法과 秩序를 지키기 위해 戰戰兢兢한다면 이 또한 바람직한 社會가 되지 않을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誘 致 이규 2013.06.17 1652
163 獅子喉 이규 2013.02.12 1651
162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651
161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649
160 不惑 이규 2012.12.17 1649
159 聖域 이규 2012.11.16 1646
158 陳 情 이규 2013.06.23 1644
157 蜂 起 이규 2013.06.05 1641
156 焦眉 이규 2012.12.05 1641
155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640
154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638
153 行 脚 이규 2013.06.19 1635
152 淘 汰 이규 2013.05.28 1635
151 烏有先生 이규 2013.06.26 1634
150 甘呑苦吐 셀라비 2014.11.26 1630
149 正 鵠 이규 2013.06.02 1630
148 管轄 이규 2012.12.20 1625
147 世代 이규 2012.11.13 1625
146 城郭 이규 2012.11.06 1622
145 觀 察 셀라비 2014.03.28 1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