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6
어제:
783
전체:
770,136

한자 鼓 舞

2013.11.01 20:48

이규 조회 수:1873

鼓 舞

춤출

 

 

북을 쳐서 흥을 돋구어

춤을 추도록 하는 것

 

 

는 북틀(鼓架)에 걸려있는 북의 模襲이고는 손()에 나무()를 쥐고 있는 模襲이다.의 본디 뜻은 북을 치고 있는 模襲인데, 에는 또는북을 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한편 는 손에 천을 든 채 이리저리 움직이면서()춤을 추고 있는 模襲이다.그렇지 않은 것 같은데 漢字가그만큼 변했기 때문이다.뜻은춤을 추다가 되겠다.

따라서 고무(鼓舞)북의 장단에 맞추어 춤을 추는 것이 된다.북소리에맞춰 춤추는 모습을 보면 흥이 절로 난다.사물놀이가 그렇지 않은가.打樂器 特有의 강한 절주(節奏)가 가슴 깊은 곳의 흥을 자아내게 하기 때문이다.예로 부터 현가고무(弦歌鼓舞)라 하여 絃樂器演奏에는 노래를 부르고, 打樂器演奏에는 춤을 추었다.그런데 신바람나게 하는 데는 打樂器그 중에서도 북이 제격이었다.이처럼 북()을 쳐서 士氣나 흥을 돋우어 춤()을 추도록 하는 것이 鼓舞.

그래서 북은 戰爭에도 자주 이용되었다.개전(開戰)과 독전(督戰)종전(終戰)信號로 사용되곤 했다.간혹 북외에 피리도 함께 사용됐는데, 그것이 고취(鼓吹).역시 흥을 일게 하여 士氣振作시키는 作用을 했다.鼓吹王室行事國王行次에도 사용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4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786
203 臥薪嘗膽 이규 2013.06.03 1786
202 遼東豕 셀라비 2014.01.23 1784
201 首鼠兩端 셀라비 2014.09.29 1780
200 自暴自棄 이규 2013.01.01 1780
199 杜 撰 셀라비 2014.07.10 1779
198 讀 書 이규 2013.06.30 1777
197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776
196 自 治 이규 2013.09.18 1775
195 鼓腹擊壤 셀라비 2014.05.26 1770
194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770
193 猶 豫 셀라비 2014.04.23 1769
192 鵬程萬里 이규 2013.10.03 1768
191 華 燭 셀라비 2014.06.08 1765
190 換骨奪胎 셀라비 2014.01.13 1764
189 投 抒 셀라비 2014.07.03 1762
188 感慨無量 셀라비 2014.11.25 1761
187 狼 藉 셀라비 2014.01.21 1759
186 過猶不及 셀라비 2014.02.25 1758
185 喜 悲 셀라비 2014.06.12 1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