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00
어제:
1,186
전체:
764,589

한자 鼓 舞

2013.11.01 20:48

이규 조회 수:1764

鼓 舞

춤출

 

 

북을 쳐서 흥을 돋구어

춤을 추도록 하는 것

 

 

는 북틀(鼓架)에 걸려있는 북의 模襲이고는 손()에 나무()를 쥐고 있는 模襲이다.의 본디 뜻은 북을 치고 있는 模襲인데, 에는 또는북을 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한편 는 손에 천을 든 채 이리저리 움직이면서()춤을 추고 있는 模襲이다.그렇지 않은 것 같은데 漢字가그만큼 변했기 때문이다.뜻은춤을 추다가 되겠다.

따라서 고무(鼓舞)북의 장단에 맞추어 춤을 추는 것이 된다.북소리에맞춰 춤추는 모습을 보면 흥이 절로 난다.사물놀이가 그렇지 않은가.打樂器 特有의 강한 절주(節奏)가 가슴 깊은 곳의 흥을 자아내게 하기 때문이다.예로 부터 현가고무(弦歌鼓舞)라 하여 絃樂器演奏에는 노래를 부르고, 打樂器演奏에는 춤을 추었다.그런데 신바람나게 하는 데는 打樂器그 중에서도 북이 제격이었다.이처럼 북()을 쳐서 士氣나 흥을 돋우어 춤()을 추도록 하는 것이 鼓舞.

그래서 북은 戰爭에도 자주 이용되었다.개전(開戰)과 독전(督戰)종전(終戰)信號로 사용되곤 했다.간혹 북외에 피리도 함께 사용됐는데, 그것이 고취(鼓吹).역시 흥을 일게 하여 士氣振作시키는 作用을 했다.鼓吹王室行事國王行次에도 사용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人質 이규 2012.12.27 1509
383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511
382 跛行 이규 2013.03.18 1512
381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512
380 似而非 이규 2013.03.21 1513
379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514
378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514
377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518
376 討 伐 이규 2013.03.17 1519
375 籌備 이규 2012.12.28 1525
374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528
373 戰 國 이규 2013.06.09 1530
372 侍 墓 이규 2013.06.21 1531
371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31
370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532
369 名分 이규 2013.02.11 1535
368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537
367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37
366 西 方 이규 2013.05.23 1540
365 傾 聽 이규 2013.07.03 1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