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15
어제:
1,186
전체:
764,804

한자 豈有此理

2013.10.31 20:29

이규 조회 수:1843

豈有此理

어찌

있을

이치

어째서 이런 도리가 있을까

한동안우째 이런 일이라는 말이 流行했다본디 사람이란 常識規範그리고 法度支配하는 社會에서 살고 있다그래서 人間事는 모두 그것에 의해 評價재단裁斷되게 마련이다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지면 그런말이 나올만도 하다재미있는 것은 漢字語에도 똑같은 表現이 있다는 점이다.「豈有此理」.直譯하면어째서 이런 도리가 있을까?』不滿懷疑가 곁들여 있음을 알 수 있다

朱子는 누구보다도 人格修養强調했으며, 方法으로 성의誠意提示했다自己自身欺瞞하지 않는 것이다그것은 마음속에 조그마한 의씨앗이라도 있어서는 不可能하다하지만 사람들은 그의 말을 잘 믿으려 하지 않았다그래서 恨歎하듯 말했다.『그것은 마치 腹痛을 앓고 있는 것과 같다뱃속에 차가운 응어리가 있어서 그런 것이므로 반드시 을 써서 응어리부터 除去해야 한다그런데 사람들은 응어리는 그대로 둔채 腹痛이 그치 欺瞞을 바라고 있다우째 이런 일이……….

참으로 理解하기 힘든일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일찍이패륜悖倫)」에서 言及한 바 있거니와 物質萬能 풍조는 결국 人間도 하나의物質轉落시키고만다어쩌면 우리가 가꾼 악과惡果를 우리가 먹고 있는 것은 아닌지이제우째 ……」보다는도 좀 생각해 보아야하지 않을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1953
123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957
122 標 榜 이규 2013.08.10 1959
121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1959
120 沐浴 [1] 이규 2013.04.08 1964
119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967
118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1968
117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69
116 執牛耳 이규 2013.11.15 1973
115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1974
114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1976
113 誣 告 이규 2013.07.24 1978
112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1985
111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1987
110 賞 春 이규 2013.08.15 1988
109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1989
108 至孝 이규 2012.10.29 1990
107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95
106 發祥地 이규 2013.10.20 2003
105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