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15
어제:
286
전체:
767,619

한자 泣斬馬謖

2013.10.28 20:57

이규 조회 수:2097

泣斬馬謖

목벨

일어날

대의를 위해 사사로운 정을 물리침

()은 선 채로() 눈물()을 뚝뚝 흘리며 우는 模襲이고()은 수레()와 도끼()結合으로 옛날 反逆者와 같은 重罪處刑했던 거열형(車裂刑)을 뜻한다.四肢와 머리를 수레에 묶고 四方으로 말을 몰면 四肢가 팽팽하게 당겨진다.그 때 도끼로 목을 치고 다시 수레를 몰아 四肢가 찢어지도록 했던 끔찍한 刑罰인데 에는목을 베다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마속(馬謖)은 유비(劉備)名參謀 마량(馬良)의 동생이다.그 역시 형만큼 재주가 뛰어나 제갈량(諸葛亮)은 그를 친동생처럼 寵愛했다.諸葛亮北方를 쳐서 중원(中原)修復하러 가게되었다.이 때 後方輸送路를 맡겠다고 自請가 마속(馬謖)이었다.그러나 그는 戰法無視한 채 을 쳤다가 그만 大敗하고 말았다.作戰에 엄청난 차질을 빚었음은 물론이다.諸葛亮은 그가 才能이 뛰어나고또 자신이 寵愛하는 部下였지만 軍法을 어겼으므로 斬刑에 처할 것을 했다.馬謖이 형리(刑吏)에 의해 刑場으로 끌려갈 때 諸葛亮은 얼굴을 소매에 파묻고 엎드려 눈물을 흘렸다.곧 이어 馬謖의 목이 陣中에걸리자 그의 憂國衷情에 울지 않은 가 없었다고 한다.

泣斬馬謖울면서 馬謖의 목을 쳤다는 뜻으로 대의(大義)를 위해서는 사정(私情)을 물리칠 수밖에 없다는 뜻을 담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總 統 이규 2013.08.19 2210
423 조바심하다 셀라비 2015.04.30 2200
422 郊 外 이규 2013.07.28 2192
421 雁 書 셀라비 2014.02.04 2189
420 包靑天 이규 2013.09.15 2185
419 百 姓 이규 2013.10.06 2174
418 쫀쫀하다 셀라비 2015.05.04 2173
417 經世濟民 LeeKyoo 2014.12.12 2172
416 敎 育 이규 2013.09.23 2158
415 臨 終 이규 2013.08.01 2157
414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2156
413 渴而穿井 셀라비 2014.11.24 2154
412 政經癒着 이규 2013.09.05 2147
411 邯鄲之夢 셀라비 2013.10.01 2146
410 鷄卵有骨 셀라비 2014.12.14 2142
409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141
408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2133
407 夜不閉戶 이규 2013.08.29 2130
406 紛 糾 이규 2013.09.25 2126
405 杜鵑 이규 2013.03.20 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