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65
어제:
783
전체:
770,125

한자 泣斬馬謖

2013.10.28 20:57

이규 조회 수:2142

泣斬馬謖

목벨

일어날

대의를 위해 사사로운 정을 물리침

()은 선 채로() 눈물()을 뚝뚝 흘리며 우는 模襲이고()은 수레()와 도끼()結合으로 옛날 反逆者와 같은 重罪處刑했던 거열형(車裂刑)을 뜻한다.四肢와 머리를 수레에 묶고 四方으로 말을 몰면 四肢가 팽팽하게 당겨진다.그 때 도끼로 목을 치고 다시 수레를 몰아 四肢가 찢어지도록 했던 끔찍한 刑罰인데 에는목을 베다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마속(馬謖)은 유비(劉備)名參謀 마량(馬良)의 동생이다.그 역시 형만큼 재주가 뛰어나 제갈량(諸葛亮)은 그를 친동생처럼 寵愛했다.諸葛亮北方를 쳐서 중원(中原)修復하러 가게되었다.이 때 後方輸送路를 맡겠다고 自請가 마속(馬謖)이었다.그러나 그는 戰法無視한 채 을 쳤다가 그만 大敗하고 말았다.作戰에 엄청난 차질을 빚었음은 물론이다.諸葛亮은 그가 才能이 뛰어나고또 자신이 寵愛하는 部下였지만 軍法을 어겼으므로 斬刑에 처할 것을 했다.馬謖이 형리(刑吏)에 의해 刑場으로 끌려갈 때 諸葛亮은 얼굴을 소매에 파묻고 엎드려 눈물을 흘렸다.곧 이어 馬謖의 목이 陣中에걸리자 그의 憂國衷情에 울지 않은 가 없었다고 한다.

泣斬馬謖울면서 馬謖의 목을 쳤다는 뜻으로 대의(大義)를 위해서는 사정(私情)을 물리칠 수밖에 없다는 뜻을 담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46
403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549
402 割據 셀라비 2012.11.09 1550
401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553
400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54
399 妥結 이규 2012.12.02 1564
398 封套 이규 2012.11.19 1565
397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565
396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66
395 兩立 이규 2012.12.13 1567
394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567
393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567
392 似而非 이규 2013.03.21 1576
391 颱 風 이규 2013.07.12 1580
390 省墓 이규 2012.11.01 1581
389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583
388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583
387 民心 이규 2012.12.09 1588
386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588
385 景福 셀라비 2012.10.31 1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