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58
어제:
324
전체:
768,282

한자 泣斬馬謖

2013.10.28 20:57

이규 조회 수:2109

泣斬馬謖

목벨

일어날

대의를 위해 사사로운 정을 물리침

()은 선 채로() 눈물()을 뚝뚝 흘리며 우는 模襲이고()은 수레()와 도끼()結合으로 옛날 反逆者와 같은 重罪處刑했던 거열형(車裂刑)을 뜻한다.四肢와 머리를 수레에 묶고 四方으로 말을 몰면 四肢가 팽팽하게 당겨진다.그 때 도끼로 목을 치고 다시 수레를 몰아 四肢가 찢어지도록 했던 끔찍한 刑罰인데 에는목을 베다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마속(馬謖)은 유비(劉備)名參謀 마량(馬良)의 동생이다.그 역시 형만큼 재주가 뛰어나 제갈량(諸葛亮)은 그를 친동생처럼 寵愛했다.諸葛亮北方를 쳐서 중원(中原)修復하러 가게되었다.이 때 後方輸送路를 맡겠다고 自請가 마속(馬謖)이었다.그러나 그는 戰法無視한 채 을 쳤다가 그만 大敗하고 말았다.作戰에 엄청난 차질을 빚었음은 물론이다.諸葛亮은 그가 才能이 뛰어나고또 자신이 寵愛하는 部下였지만 軍法을 어겼으므로 斬刑에 처할 것을 했다.馬謖이 형리(刑吏)에 의해 刑場으로 끌려갈 때 諸葛亮은 얼굴을 소매에 파묻고 엎드려 눈물을 흘렸다.곧 이어 馬謖의 목이 陣中에걸리자 그의 憂國衷情에 울지 않은 가 없었다고 한다.

泣斬馬謖울면서 馬謖의 목을 쳤다는 뜻으로 대의(大義)를 위해서는 사정(私情)을 물리칠 수밖에 없다는 뜻을 담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00
363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512
362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659
361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769
360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636
359 沐浴 [1] 이규 2013.04.08 1997
358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958
357 南柯一夢 이규 2013.04.11 2282
356 金城湯池 이규 2013.04.12 2848
355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672
354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301
353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738
352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75
351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84
350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799
349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586
348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737
347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29
346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825
345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