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575
어제:
1,101
전체:
763,078

한자 諮 問

2013.07.31 20:29

이규 조회 수:1696


諮물을자
問물을문


 남의 의견을 구함

 


  次는「다음」으로 나(首)다음의 남,즉 他人을 뜻한다. 他人의 입(口),곧남의 意見이 咨다. 그렇다면 諮는 「말로 남의 의견을 구하는 것」이 된다.
 問은 대문(門)사이에 입(口)을 대고 있는 形象이다. 門은 집을 드나들 수 있는 通路이므로 「通하다」「疏通」의 뜻이 있는 만큼 어떤 事案에 대해 입(口)으로 그 內幕을 알게 되었다(門)는 뜻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세히 물어 보아야 하므로 「묻다」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문답(問答)․문병(問病)․질문(質問)․심문(審問)이 있다. 반대로 귀(耳)가 있으면 聞(들을 문)이 된다. 곧 諮問은 어떤 사안(事案)에 대해 말로 남의 意見을 구하면서 묻는 것이 된다.
  조전(趙典)은 後漢 桓帝 때의 태상(太常․현 대통령의전 비서관)이었다.儉素․謙遜했을 뿐만 아니라 學識도 뛰어났으며 直言을 좋아하여 天子의 잘못을 앞장서서 諫하곤 했다. 桓帝는 그가 싫었지만 內心으로는 무척 尊重했다.그래서무슨 爭點이라도 생기면 늘 그에게 먼저 諮問했다. 諮問의 對價로 후한 賞을 내리면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고는 자신은 늘 儉素하게 살았다고 한다.諮問의 由來다.
  이처럼 諮問은 「상대의 의견을 듣고 묻는 것」으로 「諮問을 구했다」는 表現은 「出師表를 던졌다」거나 「역전 앞」처럼 적절하지 못하다.그냥 「의견을구했다」든지, 아니면 「諮問했다」가 옳을 것이다.이처럼 漢字를 알면 우리 말도 보이는 수가 많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 玉 石 LeeKyoo 2014.02.12 1710
223 格物致知 셀라비 2014.12.01 1710
222 痼 疾 이규 2013.11.07 1711
221 雙 喜 셀라비 2014.02.16 1711
220 蛇 足 셀라비 2014.10.24 1712
219 法 曹 이규 2013.08.13 1713
218 隔靴搔痒 셀라비 2014.12.02 1714
217 門前成市 이규 2013.11.25 1715
216 物 色 이규 2013.11.05 1719
215 乾坤一擲 이규 2013.11.10 1719
214 風塵 이규 2013.02.06 1720
213 秀 才 셀라비 2014.03.19 1721
212 杜鵑花 이규 2013.02.13 1722
211 氷上人 이규 2013.08.23 1722
210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1723
209 塗炭之苦 yikyoo 2014.05.29 1727
208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729
207 詭 辯 이규 2013.09.14 1732
206 朝 野 이규 2013.08.14 1735
205 非 理 이규 2013.09.26 1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