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47
어제:
257
전체:
762,449

한자 問 津

2013.10.25 21:55

이규 조회 수:1779

問 津

물을

나루

 

 

핵심에 이르는 길을 물음

 

 

은 대문()에 입()을 대고 있는 것으로 묻는다란 뜻이다. 結合이다. 이고 또는 붓대롱으로 에 거문고 따위의 絃樂器調律할 때 사용했던 一種의 표준음기(標準音器)로서 규칙의 뜻이 있다.

따라서 은 물()의 법칙()물을 건너는 방법으로나루터가 되겠다. 그러므로 문진(問津)이라면 나루터가 어디있느냐고 물어 보는 것이다.

孔子弟子와 함께 초()에서 채()로 돌아가던 길이었다. 한참을 걷는 이 나타났다. 一行은 건널 길이 막막했다. 마침 밭 가는 農夫 두 사람이 있길래 弟子 자로(子路)를 시켜 나루터 위치를 묻게 했다는 데서 나온말이다. 核心이나 核心에 이르는 길을 묻는 것을 問津이라 한다.

도연명(陶淵明)이 쓴 도화원기(桃花源記)에도 비슷한 內容이 나온다. 어떤 漁夫가고기를 잡기 위해 에 나섰다가 우연히 난생 처음 보는 경치를 만나게 된다. 그곳에서 칙사(勅使)待接을 받고 온갖 寶物까지 산더미처럼 받아 가지고 나왔다. 물론 外部世界에는 절대로 알리지 말라는 다짐을 듣고서 였다. 자기 집에 온 漁夫慾心이 동했다. 그래서 郡守에게 그 사실을 報告하자 郡守는 그를 앞세워 그곳을 찾기 위해나섰다. 漁夫는 이 때를 위해 미리 나올때 溪谷마다 標示해 두었다. 그러나 재차 찾았을 때는 이미 痕迹도 없이 사라진 뒤였다고 한다.

에 한 道士가 다시 찾으러 나갔다가 그만 병에 걸려 죽게 되면서 아무도 그곳에대해 問津하는 가 없었다고 한다. 에는 學文入門하기 위해 스승에게 묻고배우는 것도 問津이라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488
363 觀 察 셀라비 2014.03.28 1488
362 杞 憂 셀라비 2014.06.05 1488
361 前 轍 이규 2013.06.24 1489
360 傾 聽 이규 2013.07.03 1490
359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490
358 出 馬 이규 2013.06.04 1493
357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494
356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495
355 所聞 이규 2013.02.01 1497
354 菽麥 이규 2013.02.02 1498
353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499
352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501
351 瓦斯 이규 2013.02.12 1503
350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503
349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505
348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507
347 慢慢的 이규 2012.11.15 1508
346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508
345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