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67
어제:
289
전체:
769,344

以卵投石

2012.11.21 20:49

이규 조회 수:1131

以 써 이
卵 알 란
投 던질 투
石 돌 석

以卵投石- 계란으로 바위치기


한번은 筍子가 趙의 효성왕(孝成王) 앞에서 임무군(臨武君)과 用兵에 대해 論難을 벌인 적이 있다.  臨武君이 먼저 말했다.  “天時와 地利를 이용하고 敵의 動靜을 보아 機先을 잡도록 하는 데에 있습니다”  그러나 筍子는 먼저 民心을 모으는 것이 더 重要하다며 이에 反對했다.
  그 까닭은 簡單하다.  아무리 활의 名手인 사람이라도 활이 좋지 않으면 맞힐 수 없고, 명 騎手도 鈍馬로는 달릴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臨武君도 지지 않았다.  “그렇지 않습니다.  用兵의 核心은 形勢를 보아 勝利하는 데 있고, 行軍은 謀略과 變化에 있으니 用兵에 能한 將帥는 新出鬼沒하듯 합니다. 孫子나 吳子의 用兵이 그러했습니다.  戰爭과 民心은 別個의 問題지요”
  筍子도 反論을 提起했다.  權謀術數로 攻擊하는 것은 帝王의 用兵이 아니라 諸侯의 用兵에 不過하다는 것이다.  그에 의하면 桀과 같은 暴君을 치러면 혹 權謀 必要할 지 모르겠으나 그런 方法으로 堯와 같은 聖君을 對하는 것은 마치 鷄卵으로 바위를 치는 것{以卵投石}과 같고, 손가락으로 끓는 물을 휘젓는 것{이지요비(以指撓沸)}과 다름 없다고 했다.  한마디로 그것은 ‘無意味한 짓’이라는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4 曲學阿世 이규 2013.10.10 2601
263 兒 童 이규 2013.10.09 2347
262 婚 姻 이규 2013.10.08 2912
261 破 格 이규 2013.10.07 1935
260 百 姓 이규 2013.10.06 2209
259 井底之蛙 이규 2013.10.05 2298
258 鵬程萬里 이규 2013.10.03 1738
257 浩然之氣 셀라비 2013.10.02 2587
256 邯鄲之夢 셀라비 2013.10.01 2178
255 屋上架屋 셀라비 2013.09.30 3226
254 國 語 이규 2013.09.29 2489
253 廣 告 이규 2013.09.28 3711
252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2141
251 非 理 이규 2013.09.26 1878
250 紛 糾 이규 2013.09.25 2161
249 幾 何 이규 2013.09.24 2357
248 敎 育 이규 2013.09.23 2190
247 天安門 이규 2013.09.22 1896
246 妄 言 이규 2013.09.20 1946
245 改 革 이규 2013.09.19 2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