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66
어제:
289
전체:
769,343

一字千金

2012.11.20 20:57

이규 조회 수:1148

一 한 일
字 글 자
千 일천 천
金 쇠 금

 

一字千金 손질할 필요없는 매우 고귀한 문장.

 

 

戰國末의 여불위(呂不韋)는 趙의 巨商이었다.  우연히 趙나라에 人質로 잡혀와 있던 秦의 公子 子楚를 만나게 된다. 

理財에 능했던 그는 첫눈에 반한 나머지 그를 投資의 對象으로 삼았다. 

金錢攻勢를 펴는가 하면 高官을 불러 파티를 열어주었으며 자신의 愛妾인 趙嬉까지 바쳤다. 

그의 勞力 德分에 子楚는 歸國해 王位에 오르게 되니 이가 장양왕(狀襄王)이다. 

후에 愛妾이 政이라는 아들을 낳았는데 아버지가 죽고 13세의 어린 나이로 王位를 繼承하니 이가 秦始皇이다. 

사실 그는 呂不韋의 아들이었다.
  그는 秦의 實勢가 되어 國政을 마음대로 料理했다. 

당시 大學者인 筍子가 亂世를 叱咤하는 글을 써서 이름을 날리자 自身도 질세라 食客을 시켜 무려 20만자가 넘는 大作을 자신의 이름으로 발표하고는 [呂氏春秋]라고 했다. 

그는 이 책을 수도였던 咸陽의 城門에 陳列해 놓고는 방을 내걸었다.
  “누구든지 이 책의 내용에 첨삭(添削)할 수 있는 자에게는 한 자당 千金의 賞을 내린다” 

一見 사람을 無視하는 것 같기도 하지만 알고 보면 뛰어난 商術의 發露일 뿐이다. 

그는 이를 통해 더욱 奇拔한 頭腦를 가진 食客을 끌어 들이려고 했던 것이다.
  이후 一字千金은 ‘매우 高貴한 文章이나 著述’을 뜻하게 되었으며 內容이 너무도 完壁하여 손질할 必要가 없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21
363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529
362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677
361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785
360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649
359 沐浴 [1] 이규 2013.04.08 2008
358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968
357 南柯一夢 이규 2013.04.11 2290
356 金城湯池 이규 2013.04.12 2854
355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682
354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315
353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748
352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88
351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94
350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806
349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598
348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746
347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39
346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838
345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