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2
어제:
783
전체:
770,092

封套

2012.11.19 21:02

이규 조회 수:1556

封 봉할 봉
套 껍질 투

 

封套- 봉해 덮어 씌우는 것.


封이 部族간의 境界를 表示하려고 둑에 심은 나무에서 비롯되었고 후에는 ‘諸侯에게 땅을 封하는 것’으로 발전, ‘封하다’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套는 크고(大) 긴것(長)으로 ‘덮어 씌우다’는 뜻이다.  參考로 장갑을 ‘수투(手套)라고 한다.  덮어 씌우면 가지런하게 되므로 套는 ’세트‘, ’짝‘, ’틀‘, ’버릇‘의 뜻도 가지고 있다.  투습(套習), 語套, 常套的 등의 表現이 있다.  그러니까 封套는 ’封해 덮어 씌우는 것‘이란 뜻이 된다.  지금은 廣範圍하게 使用되고 있지만 본디 公文書를 담은데서 비롯돼었다.
  의심 많기로 有名한 中國 사람들이 傳令을 시켜 각종 公文書를 수발(受發)하자니 통 마음이 놓이지 않았다.  그래서 죽간(竹簡-대나무쪽)으로 된 公文書를 묶은 다음 진흙으로 쌌는데 그것을 봉니(封泥)라고 했다.  그러나 그것도 不足해 진흙에다 一定한 表示를 했는데 그것이 현재 도장(圖章)의 始初가 됐다.
  지금도 計器나 出入裝置 따위에 납으로 封印해 두는 겨우가 있다.  그렇다면 그것은 ‘봉연(封鉛)’이 아닌가.  후에 종이가 발명된 뒤 진흙 처리가 불가능해 지자 現在의 封套로 바뀌면서 그냥 도장만 찍었다. 

그렇다면 封套는 疑心의 産物인 셈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2041
363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2040
362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2039
361 沐浴 [1] 이규 2013.04.08 2038
360 標 榜 이규 2013.08.10 2033
359 道 路 이규 2013.08.17 2031
358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2027
357 席 捲 이규 2013.05.31 2026
356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2026
355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2025
354 雲 集 이규 2013.08.09 2025
353 知 音 셀라비 2014.03.24 2020
352 淸 貧 yikyoo 2014.06.15 2017
351 櫛 比 이규 2013.08.08 2011
350 花 信 셀라비 2013.08.02 2007
349 猪 突 이규 2013.11.27 2006
348 幣 帛 이규 2013.10.13 2006
347 審判 이규 2012.10.30 2005
346 奇蹟 이규 2012.12.06 2003
345 國會 이규 2012.11.07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