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91
어제:
321
전체:
765,913

한자 箴 言

2013.10.19 20:10

이규 조회 수:1855

箴 言

바늘

말씀

 

 

짤막한 경계의 말씀

 

 

은 대나무()로 봉한다()는 뜻이다. 옛날에는 옷을 깁는데 대바늘을사용했기 때문이다.그러나 후에 靑銅器發明되면서 바늘도 쇠()로 바뀌어침(과 같음)이 나오게 되었으며, 실을 使用했으므로 함()자가 나오게 된다.함구(緘口)봉함(封緘)이 있다.자루가 터지면 穀食이 새나오므로 해야 한다.마찬가지로 사람의 人格이 새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사람도 끊임없이 해야 한다.그것은 대바늘이 아니라 警戒의 뜻이 담긴 可能하다.그래서 경계하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箴言은 짧지만경계의 말인 셈이다.따라서 箴言은 당시의 사회풍조를 담고 있는 것이 特徵이다.이를테면 지금처럼 公務員들의 복지부동(伏地不動)盛行한다거나 過消費問題 될 때면 그것을 꼬집는 箴言이 나올 수가 있는 것이다.

서진(西晋)의 장화(張華)文學家이자 政治家였다.당시 外戚威勢가 날로 높아지자 이를 警戒하는 箴言을 써서 부도(婦道)强調했다.()나라성재(成宰)遊戱도중 한 宮女에게 어가(御駕임금의 수레)同乘할 것을要求했지만 보기좋게 拒絶당하고 말았다.宮女는 말했다.옛날의 그림을 보면 賢明皇帝 옆에는 명신(名臣)이 있고 亡國皇帝 옆에는 어김없이 宮女가 시립(侍立)해 있더군요.폐하(陛下)後者를 택하시렵니까?』 張華여사잠(女史箴)에 나오는 이야기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誘 致 이규 2013.06.17 1650
163 獅子喉 이규 2013.02.12 1649
162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647
161 不惑 이규 2012.12.17 1645
160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643
159 陳 情 이규 2013.06.23 1641
158 聖域 이규 2012.11.16 1639
157 蜂 起 이규 2013.06.05 1637
156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636
155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635
154 行 脚 이규 2013.06.19 1633
153 焦眉 이규 2012.12.05 1633
152 淘 汰 이규 2013.05.28 1632
151 烏有先生 이규 2013.06.26 1631
150 正 鵠 이규 2013.06.02 1625
149 甘呑苦吐 셀라비 2014.11.26 1624
148 世代 이규 2012.11.13 1622
147 管轄 이규 2012.12.20 1619
146 城郭 이규 2012.11.06 1616
145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