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92
어제:
1,101
전체:
763,495

한자 箴 言

2013.10.19 20:10

이규 조회 수:1785

箴 言

바늘

말씀

 

 

짤막한 경계의 말씀

 

 

은 대나무()로 봉한다()는 뜻이다. 옛날에는 옷을 깁는데 대바늘을사용했기 때문이다.그러나 후에 靑銅器發明되면서 바늘도 쇠()로 바뀌어침(과 같음)이 나오게 되었으며, 실을 使用했으므로 함()자가 나오게 된다.함구(緘口)봉함(封緘)이 있다.자루가 터지면 穀食이 새나오므로 해야 한다.마찬가지로 사람의 人格이 새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사람도 끊임없이 해야 한다.그것은 대바늘이 아니라 警戒의 뜻이 담긴 可能하다.그래서 경계하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箴言은 짧지만경계의 말인 셈이다.따라서 箴言은 당시의 사회풍조를 담고 있는 것이 特徵이다.이를테면 지금처럼 公務員들의 복지부동(伏地不動)盛行한다거나 過消費問題 될 때면 그것을 꼬집는 箴言이 나올 수가 있는 것이다.

서진(西晋)의 장화(張華)文學家이자 政治家였다.당시 外戚威勢가 날로 높아지자 이를 警戒하는 箴言을 써서 부도(婦道)强調했다.()나라성재(成宰)遊戱도중 한 宮女에게 어가(御駕임금의 수레)同乘할 것을要求했지만 보기좋게 拒絶당하고 말았다.宮女는 말했다.옛날의 그림을 보면 賢明皇帝 옆에는 명신(名臣)이 있고 亡國皇帝 옆에는 어김없이 宮女가 시립(侍立)해 있더군요.폐하(陛下)後者를 택하시렵니까?』 張華여사잠(女史箴)에 나오는 이야기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53
103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53
102 發祥地 이규 2013.10.20 1956
101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1965
100 改 閣 이규 2013.08.26 1967
99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74
98 人 倫 이규 2013.07.29 1975
97 苦 杯 이규 2013.08.03 1977
96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79
95 問 鼎 이규 2013.11.23 1981
94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82
93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83
92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93
91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94
90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97
89 사리 셀라비 2015.04.18 1999
88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2002
87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007
86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014
85 千字文 이규 2013.10.12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