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07
어제:
1,186
전체:
764,796

한자 危機一髮

2013.10.18 22:03

이규 조회 수:2035

危機一髮

위태로울

기틀

터럭

위태로움이 매우 절박함

()의 한유(韓愈)가 살았던 때에는 佛敎盛行했다.同時代該當하는우리의 三國時代에 우리나라에서 佛敎盛行했던 것도 이와 無關하지 않다.

그러나 孔子後繼者라고 自處했던 韓愈는 이같은 狀況을 도저히 黙過할 수 없었다.그에게 佛敎打倒對象일 뿐이었다.하지만 當時 헌종(憲宗)은 열렬한 佛敎 信奉者였다.한번은 부처님의 사리(舍利)에 모셔다 놓고 국태민안(國泰民安)을 비는 잔치를 擧國的으로 벌이게 되었다.이 때문에 民弊가이만저만이 아니었다.그렇지 않아도 佛敎反對했던 韓愈로서는 죽은 부처의 그것도 神聖不可侵宮闕에 모셔 놓고 祭祀를 벌인다는 것은 想像도할 수 없는 노릇이었다.그는 卽時 上訴했다.감히 天子에게 대든 것이다.그것도 不足佛敎를 신랄(辛辣)批判했다.그의 過激言辭憲宗激憤케 했고마침내 참형(斬刑)이 내려졌다.그러나 大臣들의 도움으로 執行은 면하고 潮州(廣東일대)로 귀양가게 되었다.

潮州에서 그는 스님과 사귀면서 가깝게 지냈다.이 바람에 韓愈佛敎 信者가 되었다는 所聞이 돌았다.그러자 親舊이자 詩人인 맹교(孟郊)便紙를 써 事實 與否를 물어왔다.韓愈는 깜짝 놀랐다.그는 卽時 回信을 써 仔細內幕을 밝힘과 同時에 이번에도 朝廷佛敎를 싸잡아 辛辣批判했다.佛敎 때문에 現在의 나라꼴은 만신창이(滿身瘡痍)가 되었으며 社稷危殆로움은 마치 머리털 한가닥에 매달린 千斤의 쇳덩이와 같소(一髮千鈞).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508
103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569
102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551
101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382
100 膺懲 이규 2013.02.18 1644
99 杜鵑花 이규 2013.02.13 1782
98 瓦斯 이규 2013.02.12 1566
97 獅子喉 이규 2013.02.12 1636
96 名分 이규 2013.02.11 1541
95 風塵 이규 2013.02.06 1789
94 寸志 이규 2013.02.06 1379
93 師表 이규 2013.02.04 1634
92 秋霜 이규 2013.02.04 1580
91 長蛇陣 이규 2013.02.03 1590
90 秋毫 이규 2013.02.03 1430
89 菽麥 이규 2013.02.02 1560
88 園頭幕 이규 2013.02.02 1401
87 洪水 이규 2013.02.02 1436
86 刑罰 이규 2013.02.01 1582
85 所聞 이규 2013.02.01 1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