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91
어제:
1,101
전체:
763,394

한자 危機一髮

2013.10.18 22:03

이규 조회 수:1966

危機一髮

위태로울

기틀

터럭

위태로움이 매우 절박함

()의 한유(韓愈)가 살았던 때에는 佛敎盛行했다.同時代該當하는우리의 三國時代에 우리나라에서 佛敎盛行했던 것도 이와 無關하지 않다.

그러나 孔子後繼者라고 自處했던 韓愈는 이같은 狀況을 도저히 黙過할 수 없었다.그에게 佛敎打倒對象일 뿐이었다.하지만 當時 헌종(憲宗)은 열렬한 佛敎 信奉者였다.한번은 부처님의 사리(舍利)에 모셔다 놓고 국태민안(國泰民安)을 비는 잔치를 擧國的으로 벌이게 되었다.이 때문에 民弊가이만저만이 아니었다.그렇지 않아도 佛敎反對했던 韓愈로서는 죽은 부처의 그것도 神聖不可侵宮闕에 모셔 놓고 祭祀를 벌인다는 것은 想像도할 수 없는 노릇이었다.그는 卽時 上訴했다.감히 天子에게 대든 것이다.그것도 不足佛敎를 신랄(辛辣)批判했다.그의 過激言辭憲宗激憤케 했고마침내 참형(斬刑)이 내려졌다.그러나 大臣들의 도움으로 執行은 면하고 潮州(廣東일대)로 귀양가게 되었다.

潮州에서 그는 스님과 사귀면서 가깝게 지냈다.이 바람에 韓愈佛敎 信者가 되었다는 所聞이 돌았다.그러자 親舊이자 詩人인 맹교(孟郊)便紙를 써 事實 與否를 물어왔다.韓愈는 깜짝 놀랐다.그는 卽時 回信을 써 仔細內幕을 밝힘과 同時에 이번에도 朝廷佛敎를 싸잡아 辛辣批判했다.佛敎 때문에 現在의 나라꼴은 만신창이(滿身瘡痍)가 되었으며 社稷危殆로움은 마치 머리털 한가닥에 매달린 千斤의 쇳덩이와 같소(一髮千鈞).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377
343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294
342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226
341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684
340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31
339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182
338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46
337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703
336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38
33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23
334 關 鍵 이규 2013.05.14 1534
333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377
332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372
331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69
330 干 支 이규 2013.05.19 1305
329 分 野 이규 2013.05.20 1307
328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45
327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56
326 西 方 이규 2013.05.23 1503
325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