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54
어제:
783
전체:
770,114

한자 入吾彀中

2013.10.14 20:54

이규 조회 수:2003

入吾

당길

가운데

독안에 든 쥐

우리말에 독안에 든 쥐」,또는 이 손 안에 있소이다라는 表現이 있다. 相對方을 꼼짝 못하게 해 놓고 내 마음대로 농락(籠絡)할 수 있다는 뜻으로 말하는 立場에서야 一種誇示가 되겠지만 當事者나 듣는 立場에서는그리 氣分좋은 말은 아니다.

당태종(唐太宗) 이세민(李世民)中國에서 보기드문 현명한 君主. 우리를侵略했던 張本人이기는 하지만 대당제국(大唐帝國)의 기틀을 바로 잡았다 하여中國 사람들은 한무제(漢武帝)와 함께 最高天子稱頌한다. 한번은 그가 어사부(御史府과거시험장)巡視를 나간 적이 있었다. 갑자기 닥친 天子行次에 다들 어쩔 줄 몰랐다. 곧이어 방금 科擧及第進士들이 마치 곶감궤에 꽂힌듯 줄줄이 나와 倒列하는 것이 아닌가. 그들은 數百 對 一競爭을뚫고 及第한 사람들인만큼 秀才중의 秀才들이다. 唐太宗은 자기도 모르게 得意揚揚했다. 아무리 秀才중의 秀才라 하지만 모두 自身手足이 된 人才들이 아닌가. 그래서 자신도 모르게 歎聲이 터져 나왔다.

天下英雄들은 모두 이 손안에 있도다!』(天下英雄 入吾中矣)

唐太宗才略이 뛰어나고 文武兼備帝王이었다. 일찍이 아버지 이연(李淵唐高祖)을 부추겨 滅亡시키고 을 세우게 한 도 그였으며過程에서 決定的貢獻을 한 도 그였다. 그는 또한 權謀術數用人術에도했던 였다. 과연 그는 天下人才를 한 손에 쥐고 흔들었던 것이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464
343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409
342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336
341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793
340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548
339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282
338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339
337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824
336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540
33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2046
334 關 鍵 이규 2013.05.14 1634
333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499
332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463
331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601
330 干 支 이규 2013.05.19 1416
329 分 野 이규 2013.05.20 1404
328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65
327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349
326 西 方 이규 2013.05.23 1600
325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