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425
어제:
1,179
전체:
765,293

端午

2012.11.18 15:56

이규 조회 수:1128

端 끝 단
午 낮 오

端午- 음력 5월 5일

 

端午는 본디 ‘端五’(초 닷새)라고 불렀다.  陰曆의 5월 초 닷새 날이다.  一名 단양(端陽)이라고도 한다.  一年中 陽氣가 가장 旺盛한 날이라 하여 예부터 설, 寒食, 秋夕과 함께 4대 名節로 일컬어 졌다. 또 모내기를 막 마칠 즈음이라 그해의 豊年을 비는 祈豊祭를 올렸으며, 女人들은 창포(菖蒲)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는 등 다양한 民俗 놀이가 벌어지기도 했다.
  中國 戰國時代 楚나라에 굴원(屈原)이라는 愛國 詩人이 있었다. 본디 王族이었던 그는 朝廷 대신들의 腐敗를 보다 못해 과감한 改革 政策을 建議했다.  그러나 그의 建議는 姦臣들의 頑强한 抵抗에 부딪쳤고 雪上加霜으로 暗混했던 君主 회왕(懷王)은 姦臣들의 모함(謀陷)과 참언(讒言)을 듣고 그만 그를 귀양 보내고 말았다.  그는 가슴 가득 鬱憤을 안고 외로운 放浪의 길에 들어갔다.
  그는 南方의 여러 곳을 轉轉하면서 갖은 苦生을 했지만 祖國에 대한 우국충정(憂國衷情)만은 변치 않았다.  그는 이 期間에 이소(離騷), 구가(九歌), 구장(九章) 등 珠玉 같은 詩를 써서 自身의 衷情을 펴보였다.  후에 秦이 도읍 영(玲)을 침략하자 楚의 社稷은 頃刻에 달리게 되었다.  귀양 도중 이 소식을 들은 屈原은 너무도 원통한 나머지 陰曆 5월 5일 돌을 품고 멱라수(覓羅水-현 湖南省 長沙 부근)에 몸을 던져 自殺하고 말았다. 그의 나이 62세 였다.
  屈原의 憂國衷情에 感服한 楚나라 사람들은 매년 이맘때가 되면 江에 나가 그를 祭祀지내고 용주(龍舟-용 모양의 배놀이)놀이를 한다.

端午의 由來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171
463 蠶室 이규 2013.01.05 1177
462 電擊 이규 2012.12.13 1179
461 憲法 이규 2012.12.29 1179
460 葡萄 이규 2013.01.09 1187
459 蝸角之爭 이규 2012.11.23 1194
458 變姓名 이규 2013.01.22 1194
457 覇權 이규 2012.12.08 1209
456 汚染 이규 2013.01.24 1235
455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235
454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247
453 千慮一得 이규 2012.11.28 1255
452 露 骨 이규 2013.05.29 1283
451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286
450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303
449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305
448 犧牲 이규 2012.12.18 1328
447 明鏡止水 이규 2012.11.27 1330
446 反哺之孝 이규 2012.11.02 1334
445 飜覆 이규 2013.01.29 1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