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17
어제:
257
전체:
762,419

한자 百 姓

2013.10.06 18:03

이규 조회 수:2033

百 姓

일백

 

 

처음 귀족에서 나중 평민 뜻해

 

 

은 숫자 100을 뜻한다. 그런데 100이라면 많은 숫자에 속하므로 많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백만장자百萬長者)」는 많은 財産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은 여자가 아이를 낳는 것을 뜻하는데, 原始時代에는 사람이 귀했으므로 아이를 나을 수 있는 女性權威가 높았다. 그래서 子息은어머니의 血統을 따랐는데 그것이 이다. 太古이라 할 수 있는 등은 모두 자가 들어있다. 하지만 女性出産力無限한 것도 아니었고또 무엇보다도 猛獸와 싸워야 하며 열심히 일을 해야 했으므로 이제는 그것을 擔當할 수 있는 男子의 힘이 더 重視되었다. 그래서 에 오면 父系社會가 되어 아버지의 血統을 따랐는데 그것이 .

百姓이라면 가지의 이라는 뜻이다. 물론 많은 도 된다. 專制君主時代에는 一般 平民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지만 원래는 貴族을 뜻했다. 아주 옛날에는 貴族들만 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平民을 가지게 된 것은 戰國時代부터 라고 한다. 이때는 많은 사람들이 제각기 을 가지고 있었기 때 문에 百姓이라면 平民을 뜻하게 되었다.

그래서 各其 春秋時代戰國時代를 살았던 孔子孟子에게 있어 百姓은전혀 相反된 뜻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論語孟子를 읽을 때는 百姓의 뜻을 가려야 한다. 社會變遷함에 따라 말의 쓰임도 달라지는경우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端午 이규 2012.11.18 1088
463 封套 이규 2012.11.19 1437
462 一字千金 이규 2012.11.20 1077
461 以卵投石 이규 2012.11.21 1060
460 野壇法席 이규 2012.11.22 1115
459 蝸角之爭 이규 2012.11.23 1139
458 Ⅰ. 한자어의 이해 이규 2012.11.23 1661
457 破廉恥 이규 2012.11.24 1576
456 한자어의 짜임 - 병렬관계 이규 2012.11.24 2280
455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18
454 戰戰兢兢 이규 2012.11.25 1086
453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425
452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120
451 明鏡止水 이규 2012.11.27 1273
450 千慮一得 이규 2012.11.28 1213
449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464
448 燕雀鴻鵠 이규 2012.12.01 1313
447 妥結 이규 2012.12.02 1434
446 文化 이규 2012.12.03 1576
445 한자어의 짜임 - 술목, 술보관계 이규 2012.12.03 3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