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40
어제:
783
전체:
770,100

世代

2012.11.13 21:28

이규 조회 수:1671

世 인간 세 
代 대   대


한 세대는 약 30년

 

 

世는 삼지창처럼 세 갈래로 뻗어 있는 나뭇가지에 잎이 붙어 있는 모습에서 나온 글자다.  따라서 본디 뜻은 ‘잎’이다. 

참고로 ‘葉’은 풀이나 나무{木}의 잎{世}이라는 뜻이다.
  잎이 떨어지면 새 잎이 난다. 

그것은 父母가 죽으면 子息이 태어나는 것과도 같다. 

여기에서 옛 사람들은 父母와 자식간의 關係도 落葉과 같다고 하여 ‘世’라고 불렀다. 

그런데 옛날에는 平均 壽命이 짧았으므로 대체로 30년을 前後해 家長이 바뀌었다. 

그래서 [禮記]를 보면 30년을 ‘一世’라고 했다.  이때부터 1세는 祖上의 ‘한 마디’를 뜻하게 되었다.
  그것이 代로 바뀌게 된 것은 唐나라 때부터이다. 

 옛날 專制君主 시대에는 天子의 이름은 함부로 부를수도 없을 뿐더러 쓸 수도 없었다. 

 그것은 당시의 天子 뿐아니라 동일 王朝내 그 이전 모든 天子의 이름자도 마찬가지였다.  그것을 피휘(避諱)라고 한다.
  唐太宗의 이름은 李世民이다. 

이 때부터 文章이나 말에서 一切 ‘世’자는 사용하지 못하고, 대신 같은 뜻인 ‘代’자로 바뀌게 되었다.
  代는 사람 인(人)과 문지방 익(弋)의 결합이다.  문지방은 문안과 문밖을 ‘區別’한다. 

그래서 부모와 자식간이 區別되는 것도 代라고 보았던 것이다. 

그러나 唐나라 이후부터는 ‘世’자를 忌避할 이유가 없었다. 

그래서 世와 代를 함께 사용하면서 지금의 ‘世代’란 말이 나오게 되었다. 

‘世代 差異’는 시간상 30년 差異를 뜻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098
103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2100
102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2103
101 快 擧 이규 2013.07.21 2104
100 苦 杯 이규 2013.08.03 2107
99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110
98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2124
97 文 獻 셀라비 2014.03.03 2127
96 改 閣 이규 2013.08.26 2128
95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2128
94 人 倫 이규 2013.07.29 2136
93 사리 셀라비 2015.04.18 2136
92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139
91 杜鵑 이규 2013.03.20 2145
90 千字文 이규 2013.10.12 2145
89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2146
88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148
87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2152
86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2152
85 持 滿 이규 2013.11.28 2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