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34
어제:
1,101
전체:
763,537

한자 犬馬之心

2013.09.27 20:48

이규 조회 수:2026

犬馬之心

마음

전제 군주시대 충성심 의미

는 각기 개와 말의 模襲을 본떠 만든 象形文字. 人間農耕定着 生活을 하면서 본디 野生動物이었던 것을 순화(馴化)시켜 人間이 부릴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여러 가축중에 가장 忠直한 것은 개다. 개는 主人을 위해 목숨도 버릴 줄 아는 動物이다. 오죽하면개보다 못한 사람이라는 말이 있을까. 한편 말은 옛날 交通發達하지 않았던 時代에 없어서는 안될 家畜중 하나였다. 그런데 말의 機能은 단순히 사람을 태우는 데서 그치지 않고 戰爭이 나면 國防一翼擔當했을 뿐만 아니라 情報傳達者로서도 훌륭한 役割을해냈다. 역전(驛傳)파발마(擺撥馬)가 그것이다.

그러다 보니 개와 말은 人間과 가장 가까운 家畜이 되어 늘 主人이나 國家獻身奉仕하는 動物認識되게 됐다. 이런 特性人間에게도 適用시켜 犬馬라는 말을 만들어 냈다. 臣下가 임금에게 自己 自身을 낮추어 한 말이다.

漢武帝를 도와 匈奴 討伐에 큰 을 세웠던 곽거병(郭去病)武帝王子에게 봉호(封號)를 내리지 않자 犬馬之心으로 上奏하는 글을 올렸으며 晉武帝때의 이밀(李密)은 오로지 늙은 祖母餘生을 위해 天子의 부름에도 응하지 않았다. 結果 武帝震怒하자 上奏하여 犬馬之心標示했다.

犬馬專制君主時代에서나 있음직한 말이다. 그런데 한때 일부 人士過去임금에게나 씀직한 말을 했다 하여 世人의 입에오르내렸던 적이 있었다. 말도 적당히 쓰면 靈藥이 되지만 잘못 쓰면 死藥이 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395
343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311
342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238
341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703
340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43
339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193
338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63
337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721
336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51
33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38
334 關 鍵 이규 2013.05.14 1549
333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392
332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384
331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90
330 干 支 이규 2013.05.19 1325
329 分 野 이규 2013.05.20 1328
328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69
327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69
326 西 方 이규 2013.05.23 1519
325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