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89
어제:
1,101
전체:
763,392

한자 非 理

2013.09.26 20:05

이규 조회 수:1754

非 理

아닐

다스릴

 

 

원칙을 어기고 옥돌을 마구 다룸

 

 

는 두 개의 날개 깃이 서로 등을 돌리고 있는 模襲이다. 새가 날기 위해서는 깃을 나란히 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제각각 方向을 달리 한다면 날 수없게 된다. 이와는 달리 나란히 나있는 形象(깃 우). 그래서 아니다」「그르다」「어기다등의 否定的인 뜻을 가지고 있다. 비난(非難)비명(非命)비범(非凡)비위(非違)시비(是非)가 있다.

한편 리()結合이다. 구슬은 옥장(玉匠)巨大原石을 쪼고 갈아 만드는 데 여기에는 一定法則이 있다. 반드시 돌의 결을 따라 정을 움직이며 原石의 무늬를 잘 살려야만 아름다운 구슬을 얻을 수 있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무늬는 커녕 그 구슬은 完成도 되기 전에 깨지고 만다. 마을이 들어서는 데도 一定法則이 있다. 특히 風水地理重視했던 우리의 경우반드시 山勢地勢그리고 물길을 보아 정했다. 다시 말해 마을도 하나의 法則作用結果인 셈이다. 玉匠이 옥돌을 다루는 데 있어 마을을 앉히듯 일정한 法則대로 갈고 자르는 것이 . 따라서 의 본뜻은 구슬을 다듬는 것이다. 여기에서다스리다」「원칙」「법칙이라는 뜻도 나오게 되었다. 이념(理念)이론(理論)이치(理致)도리(道理)무리(無理)진리(眞理)가 있다. 따라서 비리(非理)의 본뜻은 원칙을 어기고 마구 옥돌을 쪼는 행위를뜻한다. 그래 가지고는 훌륭한 구슬을 얻을 수 없다. 非理에서 구슬을 얻을 수없듯 非理盛行할때 健全社會健康한 나라는 期待하기 힘들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2014
403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2013
402 持 滿 이규 2013.11.28 2008
401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007
400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2006
399 千字文 이규 2013.10.12 2004
398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002
397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92
396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84
395 사리 셀라비 2015.04.18 1983
394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83
393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79
392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67
391 人 倫 이규 2013.07.29 1967
390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66
389 苦 杯 이규 2013.08.03 1966
388 問 鼎 이규 2013.11.23 1962
387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60
386 改 閣 이규 2013.08.26 1954
385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