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2
어제:
783
전체:
770,092

한자 幾 何

2013.09.24 20:23

이규 조회 수:2367

幾 何

위태할

어찌

 

 

17세기 서광계가 처음

수학 용어로 사용

 

 

는 두개의 요(작을 요)(창 술)結合이다. 작아서 잘 보이지 않으므로 死角地帶나 다름없다. 그런 곳은 창()으로 단단히 지켜야 한다. 따라서 위태로운 곳을 지킨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는 잘 보이지 않으므로 무엇인지 알 수도 없다. 그래서 무엇’, ‘얼마라는 뜻도 가지게 됐다.

(사람 인)(옳을 가)結合이다. 여기서 擬聲語로서 숨을 헐떡이며 내 쉬는 소리다. 곧 사람이 臨終이 가까워 숨을 몰아 쉬고 있는狀態. 그렇다고 醫院이나 도 없으니 이 일을 어찌한단 말인가. 따라서 어찌라는 뜻을 가지게 됐다. 그래서 幾何라면 數量무게 따위가 얼마냐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것이 數學 用語로 사용되게 된데는 由來가 있다.

中國幾何學을 받아들인 것은 17세기초 나라 末期때 일이다. 당시 西洋의 많은 宣敎師中國進出하면서 天文地理數學醫學 등과 같은 西洋 學文을 가지고 왔는데, 中國 사람들에게는 전혀 生疎分野였다. 당시 서광계(徐光啓)라는 科學者가 이탈리아의 宣敎師 마테오 리치로부터 幾何學傳受받게됐는데 도무지 理解가 가지 않았다. 아무리 說明해도 그의 물음은 얼마냐(幾何)만 되풀이 할 뿐이었다. 에 그는 마테오 리치와 함께 유클리드의 기하원본(幾何原本)中國語飜譯하면서 幾何라는 用語를 사용했다. 幾何學이라는 이름의 由來.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2103
383 快 擧 이규 2013.07.21 2101
382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098
381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2095
380 發祥地 이규 2013.10.20 2084
379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083
378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2082
377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2077
376 賞 春 이규 2013.08.15 2076
375 執牛耳 이규 2013.11.15 2070
374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069
373 誣 告 이규 2013.07.24 2065
372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059
371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2058
370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2054
369 至孝 이규 2012.10.29 2053
368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2051
367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2049
366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049
36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2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