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26
어제:
324
전체:
768,250

正 鵠

2013.06.02 17:01

이규 조회 수:1660

正바를정
鵠과녁곡


 과녁의 한가운데. 핵심

 


 활쏘기에서 勝負를 가리기 위해서는 과녁이 있어야 한다.과녁 전체를 적(的),正四角形의 과녁 바탕을 후(侯)라고 하는데, 천으로 만들면 포후(布侯),가죽으로 만들면 피후(皮侯)라고 불렀다.侯에는 同心圓 몇개와 한가운데 검은점이 있는데 布侯면 ‘정(正)’,皮侯면 ‘곡(鵠)’이라고 했다.곧 만점짜리가 ‘정곡(正鵠)’ 셈이다.따라서 ‘正鵠을 찔렀다’는 말은 正確하게 과녁의 中心을 맞혔다는 뜻이다.‘적중(的中)’ 이라고도 한다.
 正鵠이 과녁을 뜻한 데에는 까닭이 있다.正이 옛날에는 ‘솔개’의 이름이기도 했다.작은데다 敏捷(민첩)하며 높이 날므로 활로 맞히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鵠은 ‘고니’다.이놈 역시 높이 날므로 맞히기가 매우 어렵다.따라서 과녁중 가장 맞히기 힘든 부분을 ‘正鵠’이라 부르게 되었던 것이다.
 混同이 있는 것같아 몇자 添附한다.鵠이 ‘과녁’을 지칭할 때는 ‘곡’이지만 ‘새’를뜻할 때는 ‘혹’으로 發音해야 한다.고니의 優雅한 姿態와 높이 나는 氣像은 사나이 大丈夫의 遠大한 抱負를 象徵한다.
 대체로 ‘기러기’를 뜻하는 ‘홍(鴻)’과 함께 홍혹(鴻鵠)이라 하며, 그 反對를 연작(燕雀․제비와 참새 즉 小人輩)이라 한다. 흔히 ‘홍곡’이라 하는데 주의를 요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 斟酌 [1] leekyoo 2017.07.16 4049
31 수작(酬酌) leekyoo 2017.07.12 4715
30 chemistry leekyoo 2017.07.03 5745
29 행길 lkplk 2016.07.12 5509
28 할망구 LeeKyoo 2016.07.10 4614
27 푼돈 셀라비 2015.07.14 3241
26 퉁맞다 이규 2015.06.28 3280
25 핫바지 셀라비 2015.06.25 3414
24 고명딸 셀라비 2015.06.23 3429
23 한 손 이규 2015.06.10 3681
22 이규 2015.06.08 3751
21 장가들다 셀라비 2015.06.07 3294
20 잡동사니 이규 2015.05.26 3175
19 을씨년스럽다 이규 2015.05.24 3447
18 애벌빨래 이규 2015.05.21 3255
17 선달 이규 2015.05.20 3366
16 섭씨 셀라비 2015.05.19 3257
15 삼우제 [2] 셀라비 2015.05.17 3513
14 괴발개발 셀라비 2015.05.11 3546
13 휴거 셀라비 2015.05.05 3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