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84
어제:
1,101
전체:
763,487

한자 泣斬馬謖

2013.10.28 20:57

이규 조회 수:1996

泣斬馬謖

목벨

일어날

대의를 위해 사사로운 정을 물리침

()은 선 채로() 눈물()을 뚝뚝 흘리며 우는 模襲이고()은 수레()와 도끼()結合으로 옛날 反逆者와 같은 重罪處刑했던 거열형(車裂刑)을 뜻한다.四肢와 머리를 수레에 묶고 四方으로 말을 몰면 四肢가 팽팽하게 당겨진다.그 때 도끼로 목을 치고 다시 수레를 몰아 四肢가 찢어지도록 했던 끔찍한 刑罰인데 에는목을 베다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마속(馬謖)은 유비(劉備)名參謀 마량(馬良)의 동생이다.그 역시 형만큼 재주가 뛰어나 제갈량(諸葛亮)은 그를 친동생처럼 寵愛했다.諸葛亮北方를 쳐서 중원(中原)修復하러 가게되었다.이 때 後方輸送路를 맡겠다고 自請가 마속(馬謖)이었다.그러나 그는 戰法無視한 채 을 쳤다가 그만 大敗하고 말았다.作戰에 엄청난 차질을 빚었음은 물론이다.諸葛亮은 그가 才能이 뛰어나고또 자신이 寵愛하는 部下였지만 軍法을 어겼으므로 斬刑에 처할 것을 했다.馬謖이 형리(刑吏)에 의해 刑場으로 끌려갈 때 諸葛亮은 얼굴을 소매에 파묻고 엎드려 눈물을 흘렸다.곧 이어 馬謖의 목이 陣中에걸리자 그의 憂國衷情에 울지 않은 가 없었다고 한다.

泣斬馬謖울면서 馬謖의 목을 쳤다는 뜻으로 대의(大義)를 위해서는 사정(私情)을 물리칠 수밖에 없다는 뜻을 담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 斟酌 [1] leekyoo 2017.07.16 3943
31 수작(酬酌) leekyoo 2017.07.12 4593
30 chemistry leekyoo 2017.07.03 5633
29 행길 lkplk 2016.07.12 5406
28 할망구 LeeKyoo 2016.07.10 4512
27 푼돈 셀라비 2015.07.14 3123
26 퉁맞다 이규 2015.06.28 3148
25 핫바지 셀라비 2015.06.25 3309
24 고명딸 셀라비 2015.06.23 3327
23 한 손 이규 2015.06.10 3563
22 이규 2015.06.08 3625
21 장가들다 셀라비 2015.06.07 3176
20 잡동사니 이규 2015.05.26 3073
19 을씨년스럽다 이규 2015.05.24 3337
18 애벌빨래 이규 2015.05.21 3155
17 선달 이규 2015.05.20 3263
16 섭씨 셀라비 2015.05.19 3127
15 삼우제 [2] 셀라비 2015.05.17 3396
14 괴발개발 셀라비 2015.05.11 3430
13 휴거 셀라비 2015.05.05 3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