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88
어제:
1,101
전체:
763,491

한자 改 革

2013.09.19 20:29

이규 조회 수:2169

 

 

  

 

改 革

고칠

가죽

 

 

뜯어 고쳐 완전히 뒤바꿔 놓음

 

 

는 자기자신에게 매를 가하는 것이다. 은 가죽을 나뭇가지에 널어 말리고있는 模襲에서 나온 글자로 初期 가죽인 를 여러번 삶고 무두질하여 부드럽게 한 가죽을 뜻한다. 過程에서 從前 가죽의 性質완전히바뀌었으므로 면모(面貌)를 일신(一新)하다는 뜻을 가지게 된다. 혁명(革命)혁신(革新)혁파(革罷)변혁(變革)연혁(沿革)이 있다.

따라서 改革이라면 뜯어 고쳐서 완전히 뒤바꾸어 놓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수정(修正)이나 보완(補完)미봉(彌縫)과는 次元이 다르다.

공자(孔子)影響으로 中國이나 우리는 복고적(復古的)수구적(守舊的)民族性을 지니게 되었다. 그래서 과격(過激)보다는 점진(漸進)改革보다는 보수(保守)를 더 重視하게 되었으며혹 누가 劃期的提案을 했다가는 중시지적(衆矢之的비난의 화살을 한 몸에 받음)이 되기 십상이다. 자연히 改革은 어렵다. 역사상 변법(變法)이니 유신(維新)이 수차 있었지만 成功하지 못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환부(患部)를 도려내야 할 狀況이라면 微溫的方法으로는 生命蘇生시킬 수 없다. 敎育에 대해서는 누구나 果敢改革조치를 기대해 왔다. 금번 發表敎育改革은 그래서 다들 관심이 높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 庭 訓 이규 2014.01.03 1704
81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703
80 鼎 革 이규 2013.12.09 1703
79 濫 觴 셀라비 2014.06.20 1702
78 西 洋 셀라비 2014.03.02 1702
77 娑 魚 셀라비 2014.06.03 1701
76 苛斂誅求 이규 2013.10.21 1701
75 Ⅰ. 한자어의 이해 이규 2012.11.23 1700
74 餓 鬼 셀라비 2013.12.17 1699
73 義 擧 이규 2013.10.21 1699
72 狡 猾 셀라비 2014.03.13 1697
71 旱 魃 셀라비 2014.04.04 1695
70 月旦評 셀라비 2014.01.27 1694
69 面 目 셀라비 2014.01.30 1691
68 乞骸骨 셀라비 2014.05.12 1688
67 關 係 LeeKyoo 2013.12.22 1682
66 鷄 肋 이규 2014.05.15 1676
65 登龍門 lkplk@hitel.net 2014.01.22 1674
64 多岐亡羊 yikyoo 2014.06.09 1672
63 斷 機 셀라비 2014.02.18 1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