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15
어제:
257
전체:
762,217

景福

2012.10.31 20:48

셀라비 조회 수:1435

景 빛 경

福 복 복

 

경복-  임금의 덕과 만수무강을 기원

 

景은 日(날 일)과 京(서울 경)의 결합,

 京은 높은 망루(望樓)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망루(京) 밑에 짐(口)을 놓아둔 모습이 高(높을 고)다. 어쩐지 비슷하다.

망루는 적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대체로 도읍지에 세웠으므로 후에는 ‘서울’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景은 ‘해(日)가 높이(京) 떠있는 모습’에서 빛․경치․밝다는 뜻(景觀. 景致.背景. 風景)이 있으며, 해는 크므로 ‘크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福은 귀신(示)의 가호로 재물을 가득 차게 해주는 것(幅)이다.

일례로 수레(車)에 가득 차면 輻(바큇살 폭), 집이 재물로 가득 차면 富(부유할 부)다.  고로 景福은 ‘커다란 福’, 곧 大福인 셈이다.
  [詩經]의 {기취(旣醉․잔뜩 술에 취함)}편은 제사가 끝난뒤 天子의 福을 비는 노래인
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旣醉以酒(기취이주) - 임금이 내리신 술 나 이미 취했네
     旣飽以德(기포이덕) - 임금의 큰 덕에 배가 이미 부르다네
     君子萬年(군자만년) - 원컨대 우리 임 천년 만년 사시고
     介爾景福(개이경복) - 큰 복 누리사와 만수무강하옵소서.


  곧 景福은 임금의 德과 萬壽無疆, 그리고 큰 福을 祈願한다는 深奧한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漢字를 앎으로써 민족의 문화 유산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 한자여행 이규 2012.10.28 5154
261 한자어의 짜임 - 술목, 술보관계 이규 2012.12.03 3749
260 廣 告 이규 2013.09.28 3524
259 屋上架屋 셀라비 2013.09.30 3042
258 婚 姻 이규 2013.10.08 2697
257 千里馬 셀라비 2014.01.15 2567
256 無用之用 셀라비 2014.10.21 2517
255 浩然之氣 셀라비 2013.10.02 2392
254 曲學阿世 이규 2013.10.10 2391
253 國 語 이규 2013.09.29 2312
252 한자어의 짜임 - 병렬관계 이규 2012.11.24 2271
251 結草報恩 셀라비 2014.12.06 2249
250 裁 判 이규 2013.08.21 2225
249 監 獄 이규 2013.09.02 2223
248 復 古 셀라비 2014.03.04 2214
247 幾 何 이규 2013.09.24 2166
246 古色蒼然 셀라비 2015.04.18 2165
245 兒 童 이규 2013.10.09 2151
244 欲速不達 이규 2013.09.13 2150
243 鷄肋 셀라비 2014.12.17 2142